서경스타 영화

[SE★인터뷰]‘1987’ 장준환 감독, “뜨거운 질문을 던지는 영화”

“우리나라 역사로 돌아보면, 1987년에 기적이 있었고 2017년에도 그런 기적이 또 있었다. 광장의 기적이 있었지 않나. 제 개인적으로 역시 영화 ‘1987’이 세상에 나오게 된 게 기적 같다. ”

1987년 1월 한 대학생의 죽음이 6월의 광장으로 이어지기까지 모두가 주인공이었던 그 해, 1987년을 그려낸 영화가 27일 개봉했다.


1987년 1월 14일,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조사받던 스물두 살 대학생 박종철이 고문으로 사망한다. 또 하나의 의문사로 덮일 수도 있었다. 그런데, 무고한 한 젊은이의 죽음을 접했던 모두가 용기 있는 선택을 하고, 그 선택에 충실했던 이들의 행동이 연쇄적으로 사슬처럼 맞물리면서 거대한 파동을 만들어냈다. 모두가 한 목소리로 불의에 맞섰던 뜨거웠던 시간, 1987년 6월은 그렇게 2017년 우리에게 다가왔다.

장준환 감독 /사진=CJ엔터테인먼트장준환 감독 /사진=CJ엔터테인먼트


장준환 감독은 “30년 전 일이지만 우리가 얼마나 순수했으며, 뜨거웠는지 다시 돌아보면서 용기와 희망을 가질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게 영화를 만든 첫 번째 목표였다”고 밝혔다.

“그 시대의 국민, 모두를 주인공으로 만들고 싶었던 욕심이 있었다. 더 나아서 ‘우리가 멋진 사람이었어’라고 느끼고 영화로서 끝이 아니길 바라는 마음이 있었다. 왜 30년 전과 똑같은 일이 벌어졌는지, 열사분들이 갈구했던 그런 세상을 가고 있는지 되 물어보는 것. 그런 계기까지 확장이 될 수 있는 영화가 됐음 했다. 그게 진짜 속마음이었다.”

‘1987’(제작 우정필름)이란 시나리오를 앞에 놓고 장준환 감독은 여러 가지 생각이 스쳐갔다고 한다. 악의 축 박처장(김윤석)을 따라가면서 많은 인물들이 부딪치고 커다란 역사가 이루어지는 김경찬 작가가 쓴 초고를 보고, 새로운 도전을 느낀 장 감독이지만, “과연 이 작품이 영화로 만들어질 수 있을지 걱정해야 하는 시기”였다고 털어놓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이렇게 한국 현대사에서 민주주의의 족적을 남긴 분인데, 왜 아무도 이 이야기를 꺼내놓지 않았을까? 그 부분에 대해 화가 났던 부분이 있었다. 그 동안 저 나름의 제 개인적인 고민과 실존에 관한 고민을 한답시고 사회적으로 적극 참여하지 못했던 부채감 역시 떠올랐다.” 그렇게 ‘1987’로 향한 발걸음은 더욱 뜨거워졌다.





영화 ‘1987’은 1981년 1월부터 6월까지의 이야기를 담아냈다. 장감독은 처음 시나리오 때부터 박종철 열사에서 시작해 이한열 열사로 끝나는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 영화에 등장하는 유일한 허구의 인물 연희(김태리)는 6월항쟁까지 이야기를 확장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다만 연세대 재학생 이한열(강동원)과 87학번 연희(김태리)의 관계를 보여주는 장면은 여러 가지 해석이 나올 수 있다. 이에 대해 장감독은 “이한열 열사와 연희 역으로 너무나 예쁘고 잘생긴 배우들이 나와서 더 그렇게 받아들일 수 있다”고 조심스러운 답변을 이어갔다.


“제가 예상한 것보다 더 많이 다르게 결을 느끼시는 분들이 있었다. 이한열 열사가 등장한 건 잘생긴 남학생을 보여주기 위함이 아니다. 영화 속에서도 그런 대사가 있다. ‘나도 가족을 생각하면 이러고 싶지 않다’고 한다. 마음이 아파서 견딜 수 없었던 그 시대의 젊은이의 양심, 순수함을 이야기하고 싶었다. 박종철 열사 고문 치사 사건이 어떻게 진행되고 진실이 밝혀지는지까지의 메인 긴장축과는 대비돼서 더 그렇게 느낀 것일 수도 있겠다.”

관련기사



2003년 ‘지구를 지켜라!’ 2013년 ‘화이 : 괴물을 삼킨 아이’등 항상 차기작이 기대되는 감독이었던 장준환 감독. ‘1987’을 통해 지금의 우리를 돌아보게 만드는 영화적 체험을 가능하게 한다. 엔딩 크레딧이 올라간 뒤에서 쉽사리 자리를 뜨지 못하는 관객들을 다수 볼 수 있다. 언론 시사회 현장 역시 ‘뜨거운 울림’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그 시대를 겪은 분도 그렇고, 2017년에 겪은 분들도 있다. 공동체의 뜨거웠던 순간을 알기에 우리에게 준 또 다른 울림이 있는 것 같다. 그런 울림을 공유하고 서로 쓰다듬고 위로하고, 그랬으면 좋겠다. 시사회 현장에서도 그렇게 봐주셨다면 큰 칭찬으로 들리는 것 같아 감사하다.”

장준환 감독장준환 감독


“‘1987’이 끝이 아니라 어떤 시작이었으면 좋겠다”고 말한 장준환 감독은 아내 문소리 배우의 도움과 눈물에서 다른 어떤 말보다 더한 많은 걸 느꼈다고 했다. 또한 “박종철 열사 누님의 호평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말했다. “강한 분이라 표현도 강하게 하시기도 했는데, 영화로 잘 만들어줘서 고맙다‘고 말해주셔서 감사했다. 또한 ”김윤석 하정우 유해진 김태리 박희순 이희준 등이 다 캐스팅 되고, 심지어 부탁드리지 않았는데 작은 역이라도 하고 싶다고 동참해주신 오달수 선배님, 이인기 선배님의 마음을 전해 들은 것 만으로 위안이 됐다“고 지난 1년의 시절을 돌아봤다.

영화 ‘1987’은 한 젊은이의 죽음이 어떻게 역사의 물줄기를 바꾸는 거대한 흐름으로 확장되었는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묵직한 울림을 전한다. 장 감독은 그렇게 “‘위로와 공감’을 주고 받는 곳이 바로 극장이고 영화이다”고 했다.

“영화가 대단한 게 아닐 수 있어요. 영화가 할 수 있는 미덕이란 게 같이 분노해주고, 같이 울어주는 것 아닌가. 그것 이상 뭘 해줄 수 있을까? 영화 한편으로 세상이 바뀌는 건 아니다. 서로 위로하고 다독해주고, 저도 그런 부분을 관객들과 공감하면서 창작자인 저 역시 위로 받는다. 같이 소통할 수 있다는 게 서로에게 어떤 영향을 준다는 게 아닌가. 그런 영화의 미덕을 좋아한다.”

/서경스타 정다훈기자 sestar@sedaily.com

정다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