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중도파 중재안도 안먹혀...국민의당 오리무중

내달 초 '통합 전대' 앞두고

반대파 "필리버스터로 저지"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목표로 제시한 통합신당 창당 시점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찬반양론으로 극한대치 중인 국민의당의 향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당대회가 늦어도 오는 2월 초에는 열리겠지만 이미 당이 두 동강이 난 상황에서 전대를 기점으로 당내 주도권 및 인적 구성의 대대적 변화는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통합신당 창당 목표 시점은 평창동계올림픽이 시작하는 2월9일 전이다. 늦어도 1월 말에서 2월로 넘어가는 주에 당내 통합 의견을 묻는 전당대회를 열어야 신당 창당대회를 거쳐 기한을 맞출 수 있다. 국민의당의 한 관계자는 7일 “늦어도 2월3일이나 4일에는 전당대회가 열릴 것”이라며 “반대파의 전대 소집 거부 등에 대비한 다양한 대응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반대파는 ‘전대 저지’를 외치면서도 전대가 개최된다 해도 무제한 의사진행 발언(필리버스터)으로 투표를 지연시켜 의결 자체를 무산시키겠다고 벼르고 있다. 반대파인 박지원 의원은 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안 대표가) 전대를 하려고 갖은 수단을 도모하지만 전대는 절대 안 된다”며 “(반대파인) 이상돈 (전대) 의장께 맡기면 끝”이라고 말했다.


중도파의 중재안에 큰 역할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중간지대에 선 박주선·김동철 의원 등이 ‘안 대표의 2선 후퇴 후 통합 여부 결정’을 중재안으로 내놓았지만 찬성·반대 그 어느 쪽도 내켜 하지 않고 있다. 안 대표가 “내가 물러나면 통합을 안할 것”이라고 난색을 보인 가운데 반대파도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평가했다. 특히 찬성파가 호남계인 박주선 의원에게 통합정당의 공동대표직을 맡아달라고 제안했다는 설이 퍼지는 등 중립파를 포섭(?)하려는 양측의 구애가 뜨거워지면서 중재를 하려던 이들이 오히려 선택의 갈림길에 섰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이혼은 기정사실이다. 남은 건 ‘집에서 짐 싸서 나갈 사람이 누구냐’다. 통합이 성공하면 안 대표는 당내 리더십은 물론 차기 대권 주자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다. 반면 전대가 제대로 치러지지 않거나 투표 결과 통합이 실패할 경우 안 대표는 ‘통합 실패와 당 파탄’의 책임을 떠안아 정치적 입지가 좁아질 수밖에 없다. 반대파는 통합 강행에 대비해 ‘집단 탈당, 개혁신당 창당’을 추진하고 있지만 통합 좌초 시 신당 창당 준비단을 국민의당 리노베이션 기구로 전환해 당 파탄 사태에 책임을 묻겠다는 입장이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