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신생아 두상 비대칭 방지하는 스마트 짱구베개 개발

UNIST 학생팀, 촉각센서와 공기주머니 적용 아이디어 제안

상반기 시제품 제작…의료기기 시장 진출

신생아의 두상 비대칭을 방지하고 교정하는 스마트 베개 개념도. /사진제공=UNIST신생아의 두상 비대칭을 방지하고 교정하는 스마트 베개 개념도. /사진제공=UNIST


신생아의 두상 비대칭을 방지하는 스마트 짱구베개가 개발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학생팀이 스마트 짱구베개 아이디어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아산나눔재단에서 주관한 ‘과학기술 기반 대학생 비즈니스 아이디어 공모전(Business Idea Contest)’에서 금상을 수상했다. 수상팀은 UNIST 신소재공학부 학부생인 정태훈 씨와 임동철 씨, 생명공학부 대학원생인 조혜원 씨다.

이들이 제안한 장치는 기존 짱구베개에 영상기반 소프트 촉각센서와 공기주머니를 적용해 자동으로 자는 자세를 바로잡도록 유도해준다. 기존 짱구베개는 가운데가 움푹 파인 신생아용 베개로 머리가 납작해지지 않도록 도와준다. 하지만 매 시간마다 아이의 두상을 확인할 수 없고, 획일적인 크기로 효과가 적었다. 스마트 짱구베개는 오가닉 소재를 사용한 공기주머니에 머리를 받치게 되면, 면적과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신생아의 두상 상태를 바로 파악한다. 또 두상의 회전과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공기 주입과 배출을 통해 베개 모양을 변경하며, 변경된 베개 모양을 통해 신생아의 바른 두상 모양을 유도한다.


공모전에서 팀장을 맡은 정태훈 학생은 “신생아의 머리가 놓여있는 자세를 실시간으로 살피는 데에 부드러운 촉각센서를 적용했다”며 “아이의 두상을 예쁘게 만들기 위해 1~2시간 간격으로 부모가 직접 아이 자세를 고쳐주는 부분을 자동으로 하기 위해 공기주머니에서 공기량을 조절하는 시스템을 더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UNIST팀은 이 아이디어를 실제 제품으로 제작해 의료기기 시장부터 진출할 계획이다. 짱구베개가 미용적인 측면뿐 아니라 신생아 돌연사와 잘못된 수면습관으로 인한 안면 비대칭도 예방할 수 있는 의학적 측면의 수요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공모전 입상으로 연구성과실화화진흥원의 지원이 예정돼 있으므로 상반기에 시제품 제작이 가능할 전망이다.

조혜원 학생은 “스마트 짱구베개는 보호자들에게 휴식 시간을 준다는 측면에서도 매우 의미 있는 제품이 될 것”이라며 “산모들이 짧은 시간이라도 마음 놓고 쉴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산후우울증을 막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