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WB, 올해 경제성장률 3.1%로 상향…지난해 전망 대비 0.2% 포인트 상승

세계은행(WB)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지난해 6월 전망보다 0.2% 포인트 오른 3.1%로 전망했다. 선진국의 투자 회복, 브라질 등 원자재 수출국의 수출 증가에 따라 경제 회복세가 지속 된다는 판단에서다.

WB가 10일 발표한 2018년 세계경제전망(Global Economic Prospects)에 따르면 올해 선진국은 2.2%, 신흥국은 4.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성장 폭은 신흥국은 전년과 같고 선진국의 경우 2017년 6월 대비 0.4% 포인트 증가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은 2.2%에서 2.5%로, 일본은 1.0%에서 1.3%, 유로 지역도 1.5%에서 2.1%로 성장률 전망치가 상향됐다.


올해 세계 경제의 하방 요인으로는 선진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 등 보호무역주의 증가 등이 지목됐다. 아울러 WB는 중동지역 분쟁 등 지정학적 긴장 고조와 자본축적 규모 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감소 등도 잠재성장률을 떨어트릴 것으로 예상했다.

관련기사



WB는 경제 성장률을 올리기 위한 방안으로 수요 측면에서 선진국은 경우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안정적인 통화 정책 운영과 금융감독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신흥국은 선진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비한 거시건전성 조치 강화를 제안했다. 공급 측면에서는 잠재성장률 제고를 위한 구조개혁을 권고했다. 특히 선진국의 경우 투자확대, 교육훈련의 질 향상을 통한 노동생산성 증대와 여성·청년·노년층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를 지적했고 신흥국은 투자확대, 노동생산성 증대, 기업환경 개선과 거버넌스 개혁을 제시했다.

WB는 향후 10년간(2018~2027년) 세계 경제 평균 잠재성장률은 2.3% 수준으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5년간(2013~2017년) 평균인 2.5%보다 0.2%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선진국과 중국의 투자수준 저하로 인한 자본축적 감소와 고령화 등 인구변화 등이 요인이다.. WB는 “혁신관련 투자(innovation related investment) 등 공공 및 민간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며 “노동의 양과 생산성, 기업환경의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