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中소비시장 성장에 약진…亞 시총 100대 기업 중 절반 차지

지난해 亞기업 1~3위 텐센트·알리바바·삼성전자 순

중국 소비시장이 급격히 확대하면서 텐센트와 알리바바 등 중국 정보기술(IT) 기업의 시가총액이 급증하고 있다.

10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중국 정보기술(IT)기업 텐센트와 알리바바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시가총액이 아시아기업 가운데 각각 1위(4,933억 달러)와 2위(4,407억 달러)를 차지했다.

텐센트와 알리바바 시총은 2016년 말보다 각각 2.1배 늘었다. 중국 기업들의 시총이 급증하며 아시아 전체의 시가총액도 1년 전보다 30% 가깝게 증가하며 전 세계 시가총액의 30%대를 차지했다.


2016년 아시아 시총 1위였던 삼성전자는 3,428억 달러로 3위가 됐다. 1년 전보다 시총을 46% 불렸지만 중국 기업의 신장세에는 못 미쳤다.

관련기사



텐센트와 알리바바의 급격한 신장은 중국 소비시장의 증가세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스마트폰을 사용한 결제가 급속히 늘며 관련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한 양대 기업에 투자자들이 몰렸다. 상점이나 레스토랑에서 시작된 결제서비스는 택시나 배차, 공유자전거, 신선식품 택배 등까지 용도가 급격하게 확대돼 중국 소비산업의 IT 결제가 세계를 선도하는 양상이다. 지방정부나 기업부채 증가라는 과제 속에서도 연간 6%대의 성장을 지속하면서 개인소비도 두 자릿수로 늘고 있는 것이다.

특히 2014년까지 1위였던 페트로차이나는 6위로 후퇴했고 IT기업들은 도약하는 등 4차산업혁명에 따른 변화세도 보여줬다. 텐센트는 홍콩시장, 알리바바는 미국시장에 상장하고 있어 해외 투자가의 자금도 몰리기도 쉽다.

이런 효과로 아시아 상위 100사 가운데 중국 기업은 47개사로 절반 가까이 점유했다. 일본은 중국에 이은 2위로 32개사였다. 일본기업 가운데 소니는 36위, 닌텐도는 46위를 차지하며 부활 신호탄을 쐈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