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이대목동병병원 신생안 사인 시트로박터 프룬디균 감염

국과원 부검 결과 해당 균에 의한 폐혈증으로 좁혀져

주사제 취급 과정서 균 오염 일어난 듯

경찰, 사인에 따른 혐의자들 입건하는 등 규명 박차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검결과 이대목동병원에서 신생안 연쇄 사망사건의 사인이 시트로박터 프룬디균 감염에 의한 폐혈증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과원은 사망한 신생아 4명의 혈액에서 시트로박터 프룬디균이 검출됐으면 사망 전 환아 3명에게서 채취한 혈액과 사망환아에 투여된 지질영양주사제에서도 같은 균이 확인됐다고 12일 밝혔다.


감염 경로는 주사제가 오염됐거나 혹은 취급 과정에서 오염이 일어나며 감염이 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신생아들이 짧은 시간에 연쇄적으로 사망하게 된 것은 비슷한 시기에 감염되면서 급격한 심박동의 변화와 복부팽만 등 증세가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경찰은 사안이 주사제 취급과정에서 일어난 시트로박터 프룬디균 오염으로 좁혀짐에 따라 이에 대한 책임 규명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그동안 전공의와 간호사 등 병원 관계자들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지만 앞으로는 혐의에 따라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해 조사할 예정이다. 또 주사제 감염관리 의무위반 등 혐의가 있는 간호사 2명과 이들에 대한 지도·감독 의무위반 등 혐의가 있는 수간호사·전공의·주치의 각각 한 명 등 총 5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입건할 방침이다. 오는 16일에는 주치의를 소환 조사해 구체적인 혐의 규명에 돌입한다.

이두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