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숨어있는 복지 취약층 7만7,000명 찾아낸 '빅데이터'

단전·단수·기초수급 탈락 등 27개 데이터 분석해

보건복지부는 16일 단전·단수 등 공공 빅데이터 분석으로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취약계층을 찾아내 지원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보건복지부는 16일 단전·단수 등 공공 빅데이터 분석으로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취약계층을 찾아내 지원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보건복지부는 16일 위기예측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에 있던 취약계층 7만 7,000여명을 찾아내 지원했다고 발표했다. 2016년에 비해 1만 1,000여명이 증가한 수치다.


복지부는 2015년 12월부터 단전·단수·기초수급 탈락 또는 중지·의료비 과다지출 등 14개 기관 27개 종류의 공공 빅데이터를 분석해 고위험가구를 예측, 발굴해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취약계층으로 예측된 대상자를 복지부가 각 지자체에 통보하면, 읍면동의 사회복지공무원이 직접 방문해 확인하고서 필요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기초생활보장급여 지원 6,712명·차상위계층 지원 8,537명·긴급복지 지원 1,109명·기타 공공복지서비스 3만1,412명 등이 공공복지 수혜자가 됐다. 자격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2만8,868명은 민간기관이 제공하는 복지서비스와 연계했다.

올해에도 복지부는 발굴관리시스템을 통해 2개월 간격으로 매년 6차례에 걸쳐 약 35만명 이상을 찾아내 복지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