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애플, 해외 보유현금 대부분 美 송환…“세금 40조 원 낼 것”

팀 쿡 "5년간 380조 원 기여할 것”

애플 로고와 팀 쿡 CEO/AP연합뉴스애플 로고와 팀 쿡 CEO/AP연합뉴스


애플이 해외 보유현금 대부분을 본국인 미국으로 송환한다. 또 향후 5년간 미국 경제를 돕고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3,500억 달러(380조 원)를 기여하겠다고 발표했다.

17일(현지시간) 애플은 공식 발표문을 통해 현금 송환 계획을 밝히며 “해외에 보유하고 있는 현금을 국내로 들여오면서 추정 세금 380억 달러(40조 원)를 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애플은 “미국 경제와 노동력을 지원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 새로운 투자를 발표한다”면서 직접 고용 확대, 애플의 미국 내 공급업체에 대한 자본 투자, 아이폰과 앱 스토어에서 창출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원 가속화 등을 약속했다.

애플은 해외에 2,520억 달러에 달하는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이 회사가 보유한 현금의 94%로 미국 기업 가운데 최대 규모의 해외 현금 보유액이다.


애플은 35%에 달하는 미국의 높은 법인세율을 피해 애플이 해외에서 벌어들인 수익을 미국으로 가져오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 연말 미 의회가 논란 끝에 세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면서 애플의 해외 현금 송환이 가능하게 됐다. 세법 개정안은 해외 보유 현금을 송환할 경우 한시적으로 세율을 15.5%로 낮추고 법인세율도 기존 35%에서 21%로 하향 조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관련기사



CNBC 방송은 “애플이 낼 것이라고 밝힌 추정 세금 380억 달러는 15.5%의 세율을 적용할 경우 송환액이 2,450억 달러라는 의미”라며 “해외에 보유하고 있는 현금 대부분을 송환하겠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애플은 5년간 직접 고용 인력을 2만 명 더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애플의 미 고용 인력은 8만4,000명이다. 또 미국 내 제조업체를 지원하는 ‘선진제조업펀드’에 50억 달러(5조4,000억 원)를 투입하는 한편 300억 달러를 미국 내 납품업체들을 지원하는 데 사용하고 100억 달러는 미국 데이터 센터에 투자할 것이라고 각각 밝혔다.

팀 쿡 최고경영자(CEO)는 “우리는 우리의 성공을 가능하게 해 준 우리나라와 국민에게 (받은 것을) 돌려줘야 할 깊은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