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인물·화제

펠프스 "우울증 공개, 올림픽 金보다 더 잘한 일"

■'수영황제' 우울증 환자 도우미로 인생 2막

의도 안된 우발적 고백이었지만

공감·지지 쏟아지며 큰 위안 받아

환자들, 감추지 말고 도움 요청을

케네디 정신건강 포럼에 참석한 마이클 펠프스./사진=시카고트리뷴 캡처케네디 정신건강 포럼에 참석한 마이클 펠프스./사진=시카고트리뷴 캡처




“우울증 병력을 공개한 뒤 올림픽 금메달 획득 때보다 더 큰 힘을 얻었습니다.”


미국 ‘수영 황제’ 마이클 펠프스(32)가 과거의 우울증 병력을 공개적으로 밝히고 환자 도우미로 새로운 ‘인생 2막’을 열었다.

17일(현지시간) 미 언론에 따르면 펠프스는 시카고 힐튼호텔에서 열린 케네디 정신건강 포럼에서 “우울증을 앓는 사실을 공개하고 도움을 구한 뒤 얻은 만족감은 무엇과도 비교할 수가 없다”며 정신질환을 겪는 이들에게 “도움을 요청해도 괜찮다. 문제를 감추려고 하지 말라”고 격려했다.


펠프스는 15세 때인 지난 2000년 시드니올림픽 출전을 시작으로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까지 총 다섯 차례 올림픽에 나가 금메달 23개를 포함한 28개의 메달을 목에 걸었다. 올림픽 사상 개인 최다 메달 획득 기록이다. 하지만 2004년 음주운전 혐의로 보호관찰 처분을 받았고 전성기인 2008년 대학가 파티에서 마리화나를 피우는 사진이 공개되며 자격정지 3개월의 징계를 받기도 했다. 2014년에는 음주 과속운전 혐의로 입건된 후 법원 명령에 따라 알코올중독 재활치료를 받았다.

관련기사



펠프스는 지난해 8월 스포츠일러스트레이티드(SI)와의 인터뷰에서 2014년 우울증이 심해지면서 자살 위기까지 갔다고 공개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그는 계획된 고백이 아니라 우연히 토로하게 된 것이었다며 “유명인사를 특별한 존재라고 생각하지만 어려움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큰 기대가 부담이 되면서 숨고 싶었고 나 자신에게서 달아나고 싶었다”고 우울증 원인을 설명했다.

하지만 펠프스는 “질환을 공개한 뒤 내 삶은 어느 때보다 경쾌해졌다”며 “정신질환 환자를 둔 가족들에게 받은 공감과 지지가 금메달 획득보다 더 큰 기쁨과 감격으로 다가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울증 고백 후 살려는 의지가 생겼고 나 자신이 변화됐다”면서 “이제 더 이상 두렵지 않다. 그것이 나를 열 배나 더 강하게 만들어줬다”고 덧붙였다.

펠프스는 자신에게 구원의 손길을 내밀어 준 이들처럼 도움이 절실한 이들에게 삶의 의지와 용기를 불어넣는 일을 하게 됐다면서 “고통을 겪는 이들에게 살아온 과정을 이야기하며 용기와 지지를 보내는 것이 나의 새 목표”라고 말했다.

한편 ‘케네디 포럼’은 존 F.케네디 대통령의 조카이자 에드워드 케네디 전 상원의원의 아들인 패트릭 케네디(50) 전 로드아일랜드 주 하원의원이 정신질환·행동장애 질환관련 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2013년 설립했다. 케네디 의원은 8선을 연임했으나 조울증 및 약물 중독 치료를 이유로 2011년 자리에서 물러났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