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아직도 반복되는 '용산참사'…세입자 이주대책 필요"

당시 철거대책위원장 이충연씨 "진상규명 기대 아직 놓지 않아"

2013년 특별사면돼 교도소에서 나온 이충연씨/연합뉴스2013년 특별사면돼 교도소에서 나온 이충연씨/연합뉴스


2009년 용산참사 당시 철거대책위원장이었던 이충연(45)씨는 “9년이 지난 지금도 ‘용산’은 반복되고 있다”며 용산참사 진상규명과 더불어 강제철거 관련 제도 정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씨는 참사 당시 남일당 건물 위에 설치한 망루에서 농성하다가 불을 내 경찰 1명을 숨지게 한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은 철거민 7명 중 1명이다. 이 씨는 지난 9년간 기존 수사 결과는 경찰과 검찰, 나아가 이명박 정부가 진실을 은폐하려고 만든 짜 맞추기일 뿐이라고 주장해 왔다. 또한 “수사는 물론 재판 과정에서도 내 주장은 전혀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 모조리 묵살됐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13년 1월 특별사면에서 다른 관련자 3명과 함께 형 집행 정지 사면을 받고 풀려난 이씨는 지난달 29일 문재인 정부 첫 특별사면 대상자에 포함돼 복권됐다. 경찰은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려 용산참사에 대해 재조사를 하겠다고 나섰다. 이 씨는 “어디까지나 경찰이 꾸린 조사위여서 진실 규명에 큰 기대는 하지 않고 있다.”면서 “다만, 시민사회의 믿을 수 있는 인사들이 조사위에 들어가 있어 기대를 완전히 접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또한 용산참사 진상규명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이런 일이 다시는 벌어지지 않도록 제도를 만드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 씨는 “1년간 ‘애걸복걸’했지만 아무도 얘기를 들어주지 않아 망루에 올라갈 수밖에 없었다”면서 “세입자 이주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강제철거를 금지하는 제도가 만들어져야 한다. 참사가 나자 여·야 가릴 것 없이 정치권에서 관련 제도를 바꿔야 한다고 부르짖었는데, 얼마 안 가서 잠잠해졌다”고 말했다. 이어 “어제(18일) 청량리 재개발 4구역 철거민 집회에 갔는데, 용역이 폭력을 행사하고, 한겨울 강제철거가 이뤄지는 등 모든 게 그대로더라.”며 비판했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