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CJ대한통운 ‘휠소터’ 100호기 돌파…택배기사의 생활이 바뀌다



택배현장에 화물 자동 분류 장치인 ‘휠소터’(사진) 도입이 본격화되면서 택배기사의 생활이 달라지고 있다.

CJ대한통운(000120)은 19일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위치한 택배 터미널에 휠소터를 설치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로써 휠소터가 설치된 택배 터미널은 100곳으로 늘어났다. 휠소터란 택배 상품에 부착된 송장의 바코드를 빠르게 인식한 후 컨베이어벨트 곳곳에 설치된 소형 바퀴를 통해 택배 상자를 배송지역별로 자동 분류하는 장비를 말한다.

CJ대한통운은 지난 2016년 9월 분류 자동화에 1,227억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하고 세계 최초로 택배 서브터미널에 휠소터를 개발·설치하기로 했다. 이후 인천을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약 90여 곳에 설치했으며, 이번 부산 장림동 터미널에 100번째 휠소터를 가동했다.


휠소터 설치로 CJ대한통운 택배기사 1만7,000명 가운데 60%인 1만 명이 혜택을 보고 있다. 과거에는 컨베이어 벨트 앞에 서서 택배 상자에 적힌 송장 주소를 살펴 손으로 직접 화물을 분류했지만 이제는 휠소터가 지역별 화물을 자동 분류해 택배 기사 앞으로 전달해 준다. 덕분에 과거에는 아침 7시 까지 전원 출근했던 것도 조를 편성해 일부 직원들만 일찍 출근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관련기사



자동 분류에 따른 작업 효율 증대와 방식 변화로 택배기사의 배송 출발이 약 3시간 정도 당겨졌고 이에 따라 고객은 3시간 빨리 상품을 받아볼 수 있게 됐다. 또 택배기사는 고객의 문의나 요청에 보다 적극적으로 응대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면서 고객 서비스가 향상됨과 동시에 수입도 증대되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앞으로도 다양한 투자와 지원을 통해 더 나은 작업 환경을 조성하고 혁신적으로 택배업계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