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檢 ‘장진수 입막음’ 류충렬 전 총리실 공직복무 관리관 소환 조사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 청와대 특수활동비 상납·유용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류충렬 전 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을 불러 조사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송경호 부장검사)는 21일 류 전 관리관을 소환해 조사했다. 류 전 관리관은 장진수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이 불법 사찰에 대한 증거인멸 지시의 입막음용으로 관봉을 자신에게 전달해줬다고 지목한 인물이다.


장 전 주무관이 2011년 4월 본인이 류 전 관리관으로부터 관봉을 받았고, 이는 류 전 관리관으로부터 장석명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이 마련한 자금이라는 설명을 들었다고 폭로했던 터라 검찰이 MB정부의 민간인 사찰 의혹 사건을 본격 재수사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김진모 전 청와대 민정2비서관도 국정원에서 받은 5,000만원을 민간인 사찰 관련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썼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 자금 불법 수수 혐의 수사 과정에서 수뢰 혐의는 부인하면서도 입막음용으로 자금을 전달한 사실은 인정한 셈이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검찰은 류 전 관리관을 상대로 관봉 전달 당시 경위를 파악한다는 방침이다. 또 22일에는 장 전 비서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관봉의 출처 등을 캐물을 계획이다. 민간인 사찰 의혹 사건은 김종익 전 KB한마음 대표가 블로그에 이명박 전 대통령을 희화한 ‘쥐코’ 동영상을 올렸다가 지원관실의 전방위 불법 사찰을 받은 끝에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나면서 비롯됐다. 2010년 1차 수사 당시 검찰은 사찰이 실제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인규 전 공직윤리지원관 등 사찰 관련자 3명을 강요 및 직권남용 등 혐의로 기소했다. 하지만 지시 등에 연루된 윗선에 대해서는 밝히지 못했다. 이후 2012년 3월 장 전 주무관이 불법사찰 증거인멸 지시는 물론 입막음용 관봉을 받았다고 폭로하면서 검찰은 재수사에 착수했으나 ‘증거 인멸의 몸통’이라고 자인한 이영호 전 고용노사비서관 등 일부 관련자를 증거인멸 교사 협의로 기소하는 데 그쳤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