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중국 원숭이 2마리 복제..생명연 "기술력 있으나 실험 영장류 부족"

중국 연구진, 세계 첫 체세포핵치환 원숭이 복제

복제원숭이 통해 뇌신경질환이나 암 등 연구확대

생명연 "원숭이복제 핵심 배반포기 기술있어..."

복제원숭이 화화.복제원숭이 화화.




중국이 세계 최초로 체세포핵치환(SCNT·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방식 원숭이 복제에 성공한 것에 대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우리나라도 관련 기술력은 있지만 실험할 동물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내놨다.


SCNT는 난자에서 핵을 제거한 후 다른 체세포에서 분리한 핵을 넣어 복제 수정란을 만드는 것으로 대리모에 착상하면 체세포를 제공한 개체와 유전적으로 동일한 동물을 얻을 수 있다. 1996년 영국에서 복제양 ‘돌리’를 만들 때 썼던 기술이지만 영장류(靈長類·사람과 유인원과 원숭이를 포괄하는 포유류)에서 성공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과학원(CAS) 신경과학연구소 연구진은 “SCNT 기법으로 원숭이 두 마리를 복제했다”며 “3년에 걸쳐 복제 과정을 최적화한 결과로 뇌신경질환이나 암 같은 사람의 질환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25일 밝혔다.

이에 대해 김선욱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래형동물자원센터장은 “국내에서도 자궁에 착상하기 직전 단계인 배반포기까지의 기술은 갖고 있다”며 “이번에 중국에서 성공한 체세포 핵 치환 복제의 핵심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실제 복제양 돌리 이후 여러 연구진이 SCNT로 영장류를 복제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실패했던 것은 원숭이의 복제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기 직전 단계인 ‘배반포기’까지 제대로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CAS 연구진은 핵을 제거한 원숭이 난자에 원숭이 태아의 체세포를 넣어 융합시킨 뒤 배반포기까지 복제 수정란이 잘 발달하도록 여러 화학물질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촉진했다. 이렇게 109개의 복제 수정란을 만들고 79개를 21마리의 원숭이 대리모에 나눠 착상시켜 6마리의 대리모가 임신에 성공했고 이 중 2마리가 새끼를 낳았다. 연구진은 새끼 원숭이들에게 ‘중화·中華)’에서 한 글짜씩을 따 ‘중중’(Zhong Zhong)과 ‘화화’(Hua Hua)라는 이름을 붙였다.

관련기사





이와 관련, 생명연 측은 기술력은 갖고 있지만 중국과 원숭이 등 실험 자원의 차이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크다는 게 걸림돌이라고 설명했다. 김 센터장은 “복제를 통해 산자(새끼)를 만드는 정도까지 실험하려면 엄청난 수의 원숭이가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중국과 미국 등에는 최대 수만 마리 규모의 영장류를 보유할 수 있는 센터가 있지만 우리는 생명연이 청주 오창읍에 국가영장류센터와 미래형동물자원센터를 두고 정읍 영장류자원지원센터가 있지만 태부족이라는 것이다. 지난해 준공한 정읍센터에선 고품질 ‘SPF(특정 병원성 미생물에 감염되지 않은 상태) 영장류’ 4,000마리를 생산한다. 김 센터장은 “치매나 퇴행성 뇌 질환 등 치료제 개발이나 뇌 신경 과학 연구를 위해 꼭 필요해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999년 미국 연구진이 수정란을 분할하는 ‘할구분할’ 방법으로 원숭이를 복제한 적은 있지만 SCNT로 복제 원숭이를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과학자들은 지금껏 이런 질환을 연구할 때 원숭이에서 특정 유전자를 망가뜨리거나 기능을 활성화한 뒤, 다른 원숭이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해 왔다. 하지만 두 원숭이는 유전적으로 100% 같지 않다는 한계가 있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