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상선, 영하 60도 운송서비스 ‘울트라 프리저’ 개시…고수익 창출

냉동화물 운송 관련 세계 최고 기술력 입증

운임 단가 4배~8배, 고부가 서비스로 수익

현대상선(011200)이 냉동컨테이너 분야에서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냉동화물을 영하 60도로 운송하는 서비스를 내놓는다. 세계 운송 시장에서 현대상선의 기술력을 보여주는데 더해 운임 단가도 높아져 수익 개선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현대상선은 기대하고 있다.

현대상선은 25일 부산발 스페인 바르셀로나 운송을 시작으로 ‘울트라 프리저(Ultra Freezer)’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현재 울트라 프리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사는 전 세계 1위 선사인 머스크와 3위인 CMA CGM 뿐이다.

울트라 프리저 서비스는 일반 냉동 컨테이너의 한계인 영하 35~40도를 넘어 영하 60도의 초저온으로 화물을 운반하는 서비스다. 이동과 선적, 양하 과정에서 초저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높은 수준의 기술력과 숙련된 전문인력이 있어야 이 서비스를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운임이 일반 냉동 컨테이너 대비 4배에서 최고 8배까지 높다.


울트라 프리저 서비스를 이용하면 기존에 주로 항공을 통해서 운송했던 고급냉동참치(횟감용), 성게 등 고수익 화물을 해상으로 운송할 수 있다. 현대상선은 부산-바르셀로나(스페인), 부산-시미즈(일본), 알헤시라스(스페인)-요코하마(일본) 구간에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관련기사



현대상선은 향후 울트라 프리저 서비스 등 고부가가치 사업을 확대해 수익성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세계 최고 수준의 현대상선 냉동 컨테이너 관리 기술이 이번 울트라 프리저 서비스를 통해 더욱 향상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화주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상선은 지난해 8월 냉동 컨테이너 사물인터넷(IoT)시험 운영을 성공적으로 마친 바 있다. 냉동 컨테이너에 IoT 기술을 도입하면 선박에서만 확인 가능했던 온도 변화여부를 인터넷을 통해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체크 및 조절이 가능해진다. 또한 향후 블록체인과 연계하는 등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부산 신항에서 선적 대기 중인 현대상선의 ‘울트라 프리저 컨테이너’.부산 신항에서 선적 대기 중인 현대상선의 ‘울트라 프리저 컨테이너’.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