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중기 혁신성장 지원 1순위 인재양성"

중기중앙회 인식조사 결과 발표





‘혁신성장’을 실현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이들 내부적으로 인재 양성 및 기술 역량을 강화하고 외부적으로 스마트공장 확산 지원과 중소기업협동조합 혁신 등의 인프라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중소제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혁신성장에 대한 중소기업 의견 조사’에 따르면, 우리 경제가 고용 감소 없는 혁신성장을 이루기 위해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분야로 인재 양성·투자(33.7%)와 기술역량 강화(32.7%)가 우선적으로 지목됐다. 또한 정부의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에 대해 응답기업의 39.7%가 중소제조업 경쟁력 향상에 ‘도움된다’고 응답, ‘도움 안 된다’는 의견(16.6%)보다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의 효과 제고를 위해서는 ‘사업예산 확대’(27.0%)와 ‘지원절차 간소화’(25.3%)를 꼽았다. 응답 기업의 절반 가량(50.7%)은 중소기업협동조합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조합 혁신을 위해 추진해야할 사안(복수응답)으로 조합 업무범위 확대(46.0%), 주무관청 보고의무 간소화(38.3%), 중기부 내 담당부서 설립’(28.0%)을 지목했다.

관련기사



중기중앙회가 추진하는 △조합 공동판매 합법화 △조합공동구매 전용보증제 도입 △국가 공동브랜드 도입 △조합추천 소기업 우선구매제도 등 혁신안에 대해서는 중소기업 성장에 도움될 것이라는 응답이 45.0%로, 도움 안될 것이라는 응답(14.7%)보다 세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사람중심 경제 구현과 성장방식 질적 전환을 추진하겠다는 정부의 새해 경제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40.3%가 긍정적이라는 의견이었고, 부정적이라는 응답은 11.3%에 그쳤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스마트공장 확산 사업 등 정부 혁신성장 정책의 효과를 중소기업에서도 체감하고 있으나, 효과 제고를 위한 질적·양적 개선이 필요하다”며 “중소기업중앙회에서도 조합 혁신 사업 추진 등 중소기업과 우리 경제의 질적성장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정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