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수출물량지수 2개월째 상승세…'반도체 이끌고, 車 가라앉고'

"美 세이프가드, 전체 수출물량에 큰 영향 없어"

수출금액지수는 3개월만에 반등

지난해 12월 자동차 수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호조에 힘입어 수출물량지수가 2개월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지난해 12월 자동차 수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호조에 힘입어 수출물량지수가 2개월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12월 자동차 수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호조에 힘입어 수출물량지수가 2개월째 상승했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017년 12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을 보면, 작년 12월 수출물량지수는 147.90(2010=100)으로 전년 동월보다 1.7% 올랐다. 품목별로는 집적회로가 포함된 전기·전자기기가 12.5%, 화학제품이 7.3% 상승했다. 반면 승용차와 자동차 부품 등 수송장비는 29.7% 하락해 미국발 금융위기 후인 지난 2009년 6월(-31.3%)이래 가장 큰 폭을 보였다. 원인으로는 중국과 미국 시장에서의 국내 승용차·부품 경쟁력 약화와 전반적인 수출 부진이 꼽힌다.

공산품 전체로는 1.6% 상승했고 농림수산품은 6.8% 하락했다. 수출금액지수는 132.98으로 전년 같은 달에 비해 8.4% 올랐다.


권처윤 한국은행 물가통계팀장은 미국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에 대해 “우리나라는 집적회로 등 수출 기여도가 크기 때문에 세탁기가 전체 수출물량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수입물량지수는 137.43달러로 5.0% 올랐으며, 품목별로는 반도체 제조용 기계(99.7%) 등 일반기계가 33.4% 뛰었다. 설비투자와 관련된 제품 위주로 작년 하반기 들어서 상승세가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상당한 수준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전망이다. 컴퓨터·컴퓨터기억장치·이동전화기 등 전기·전자기기도 9.9% 상승했다. 수송자입도 폴크스바겐 차 수입이 재개되며 20.6% 뛰었고, 열연강판 등 제1차금속제품은 9.5% 감소했다. 이를 아우르는 전체 공산품은 7.9% 상승했으나 광산품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원유와 유연탄 수입이 축소돼 2.7% 하락했다. 농림수산품은 1.9% 상승했다.

수입금액지수는 124.29로 15.9% 올랐다. 지난달 수출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량을 나타내는 소득교역조건지수는 147.03으로 1.8% 떨어졌다. 상품 1단위를 수출한 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량인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99.41로 3.5% 하락했다. 국제유가 상승으로 수입가격이 많이 오른 것이 이유로 지목된다. 연간 수출물량지수는 평균 143.24로 전년보다 5.3% 상승했다. 2012년 5.6% 상승 이래 최고폭이다.

수출금액지수는 125.28로 14.6% 상승해 3년 만에 반등했다. 2011년 19.2% 이래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수입무역지수는 131.08로 8.4% 올라 2010년 16.5% 상승 이래 최고 상승률을 보였다. 수입금액지수는 113.25로 18.9% 상승했다. 6년만에(2011년 24.0%) 가장 높은 폭이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101.23으로 0.8% 하락해 5년만에 처음으로 하락 반전했고, 소득교역조건지수는 4.5% 올라 2015년 이래 최고폭으로 상승했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