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제약·바이오 R&D 비용 자의적 회계 처리 제동

금감원 '적정성' 중점감리 예고



금융당국이 연구개발(R&D) 비용을 무형자산으로 처리해 영업이익을 올리는 제약·바이오 업체의 회계처리에 제동을 걸었다. 해당 방식은 최근 도이체방크가 셀트리온의 R&D 비용 회계처리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 국내 제약·바이오 상장사의 절반 이상, 또 삼성바이오에피스 등 다수의 비상장사 역시 적용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3월 결산을 앞두고 R&D 비용 회계처리 유의사항을 28일 사전 예고하며 이같이 밝혔다. 금감원은 제약·바이오 업체의 R&D 비용 회계처리 방식이 ‘지나치게 자의적’이라고 경고했다. 금감원 회계기획감리실은 “최근 제약·바이오 업종을 중심으로 코스닥 시장의 주가가 급등락하며 개발비 관련 회계에 대한 의혹이 제기됐다”며 “결산 공시가 완료되면 신속히 점검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점검 후 위반 가능성이 큰 회사는 따로 중점 감리를 벌일 계획이다.


지난 2016년 제약·바이오 상장사 152개 중 83개(55%)가 개발비를 자산으로 계상했고 총 규모는 1조4,699억원이다. 전체 상장사의 총자산 중 개발비 자산 계상 비중은 1% 미만인 데 비해 제약·바이오 상장사의 비중은 4%에 달한다. 정부의 판매승인 시점 이후 지출만을 자산화하는 글로벌 제약사에 비해 국내 기업의 자산처리 비율이 지나치게 높다는 게 금감원의 지적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국내 기업은 자산화 시점 등 공시 상태가 미흡하고 임상에 들어가기도 전에 미리 자산처리를 하는 경우가 있다”며 “기술적 실현 가능성, 판매능력 등을 반드시 입증해야 자산으로 처리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제약·바이오 업계와 회계법인은 정상적인 회계처리라며 맞서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신약 R&D 비중이 높은 글로벌 제약사는 자산화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아 보이는 착시 효과”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