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하수처리장 폐기물로 '연료전지 실증화'

울산 벤처기업 이이알앤씨

화학연구원과 기술 개발

상용화땐 온실가스 감소 기대

이강우(오른쪽) 아이알앤씨 대표와 서봉국 한국화학연구원 박사. /사진제공=화학연구원이강우(오른쪽) 아이알앤씨 대표와 서봉국 한국화학연구원 박사. /사진제공=화학연구원


무공해 청정 신재생에너지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연료전지는 고순도 수소 및 메탄가스를 주원료로 해서 가동되는데, 울산의 한 중소기업이 기존 화석연료가 아닌 폐자원으로 이를 실증화하는 데 성공했다.

29일 한국화학연구원에 따르면 울산의 폐기물 자원화 전문 중소벤처기업인 이이알앤씨(대표 이강우)는 한국화학연구원 서봉국 박사팀과 함께 하수처리장의 폐슬러지 처리 과정에서 나오는 바이오가스에서 메탄을 분리 정제한 후 연료전지에 공급해 10㎾의 전력을 생산하는 실증기술을 개발했다.


메탄가스 제조 공정은 가스 분리정제 멤브레인을 이용해 연료전지 가동에 적합한 가스를 안정된 조건에서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공정기술이다. 멤브레인은 혼합가스 중의 메탄을 선택적으로 정제하여 고순도로 농축하는 역할을 한다. 개발된 가스 정제 공급 시스템은 패키지 형태로 제품화돼 다양한 규모의 연료전지용 원료가스 생산 용도로 국내외 대기업에 공급할 예정이다. 특히 경제성이 낮은 중소규모 바이오가스 자원에 대한 신재생에너지 활용에 유용하게 적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관련기사



한국화학연구원은 이 기술을 통해 5,000억원 규모의 바이오가스 정제 분야 시장 진입에 유리한 입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한, 하수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 및 이산화탄소는 대표적인 온실가스로서, 국내에서 상용화돼 공급한다면 연간 10만6,000톤의 온실가스를 줄이는 효과(440억원 가량의 매출)가 예상된다.

이강우 이이알앤씨 대표는 “폐기물들을 더 부가가치가 큰 자원으로 선순환시키기 위해 이들을 재활용한 3D 프린터용 소재를 개발하는 등 미래지향적인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