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위험 감수·실패 인정하는 문화가 4차혁명 밑거름"

‘文 정부 4차혁명정책 설계자’ 유웅환 SKT 오픈 콜라보센터장

퍼스트무버가 시장 이익 독식

도전 장려하는 문화 정착시켜

패스트팔로워 전략 벗어나야





“위험 감수(리스크 테이킹)와 실패의 가치를 인정하는 문화가 조성되지 않으면 4차 산업혁명 사회로 갈 수 없습니다. 사람 중심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해 고민해야 할 시점입니다.”


지난해 대선 때 문재인 캠프의 ‘인재영입 1호’ 인사로 주목받은 유웅환(46·사진) 전 KAIST 창업원 교수(SK텔레콤 오픈 콜라보센터장)는 최근 서울 홍릉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창조아카데미에서 열린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강연에서 우리식의 ‘4차 혁명’ 정의를 내려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만 35세에 인텔 수석매니저를 맡고 귀국 후 삼성전자 상무, 현대자동차 연구소 이사 등을 역임한 유 센터장은 문재인 정부 4차 산업혁명 정책 설계자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새로운 대한민국위원회 4차산업혁명 공동위원장’을 지냈다. 그는 이 달 초 교수직을 그만두고 SK텔레콤 오픈 콜라보센터장으로 영입됐다.

유 센터장은 2000년대 초 인텔에서 반도체 설계 엔지니어로 이른바 윈텔(윈도+인텔) 시대를 관통한 세대인 만큼 퍼스트무버(first mover·시장선도자)가 시장 이익을 독식하는 구조를 실감하고 있다. 그는 “2등 기업은 먹을 게 없는데 우리는 아직도 패스트팔로어(fast follower·빠른 추격자) 전략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며 “새로움을 향한 도전을 꺼리고 답이 이미 있는 해결방법만 찾아서는 퍼스트무버가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유 센터장은 해답을 기업문화 혁신에서 찾았다. 실리콘밸리가 혁신의 롤모델인 것은 엔지니어들이 무엇이든 다 할 수 있고 실패 결과는 투자자가 책임지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조직 구성원이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성장 비전이 결합될 때 최고의 생산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그는 “구글은 직원 1인당 매출 20억원, 이익은 4억원을 창출한다”며 “미국과 한국에서 모두 일한 경험에 비춰보면 우리 엔지니어의 역량이 미국에 비해 뒤지지 않은데 그 결과가 다른 이유를 고민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제점이 발생하면 담당자를 단죄하는 데 급급하지 말고 그 원인을 찾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유 센터장은 “실패의 가치와 조직원의 존엄을 인정해주는 선제적 문화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사실 4차 산업혁명은 그다음 문제”라고 지적했다.

유 센터장이 그린 우리의 4차 산업혁명은 사람 중심의 문화, 포용적 성장의 사회, 인간을 닮은 기술 등 세 가지가 기본 얼개다. 인간을 닮은 기술로는 4세대(4G)보다 속도가 10배 빠른 5세대(5G) 통신을 비롯해 재료 분야에서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 에너지 시장의 게임체인저인 플라즈마 분야가 꼽힌다. 유 센터장은 “우리나라가 5G 표준화 작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점은 바람직하다”며 “망융합 등 우리가 앞선 분야에서 선도하며 경쟁자들을 따라오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가 정보혁명을 이끈다면 오는 2021년까지 약 40만개 일자리 창출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 센터장은 도전정신을 북돋우는 기업문화가 사람을 키우는 경영이라고 강조했다. 2개 이상 분야의 전문가들이 병렬로 모이면 세계 1등 기술이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그는 “기업은 단순히 비용절감을 위해 숙련·전문가를 퇴출시키고 그 자리를 비숙련·비정규직으로 메꾸는 산수만 해서는 곤란하다”며 “사람 중심 경영이 전문가를 키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