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다스 비밀창고서 나온 靑 문건…MB-다스 관계 밝히는'스모킹 건'되나

발견된 것만으로도 문제 소지…

MB측 "실수로 들어간 듯" 해명…검찰, 'MB 다스 관여' 규명에 주력

검찰이 청계재단 소유 서초동 영포빌딩의 다스(DAS) 지하창고에서 이명박 정부 청와대의 국정 관련 문서들을 다수 찾아냈다./ 연합뉴스검찰이 청계재단 소유 서초동 영포빌딩의 다스(DAS) 지하창고에서 이명박 정부 청와대의 국정 관련 문서들을 다수 찾아냈다./ 연합뉴스


검찰이 청계재단 소유 서초동 영포빌딩의 다스(DAS) 지하창고에서 이명박 정부 청와대의 국정 관련 문서들을 다수 찾아내면서 이 전 대통령과 다스를 둘러싼 의혹 수사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검찰이 이번에 확보한 문서는 이런 진술을 입증하는 직접적인 증거가 될 가능성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30일 검찰에 따르면 다스가 BBK로부터 투자금 140억원을 먼저 돌려받는 데 이명박 정부 청와대가 영향력을 행사한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1부(신봉수 부장검사)는 지난 25일 영포빌딩 지하 2층의 다스 임차 공간에서 확보한 압수물 분석에 집중한다. 영포빌딩은 이 전 대통령이 재산을 기탁해 설립한 청계재단 소유 건물이다. 다스는 이곳 지상 2층 및 지하 2층 일부를 사무실과 창고로 임차해 사용 중인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이곳에서 다스의 BBK투자자문 투자 관련 문서와 함께 이명박 정부 청와대의 국정 관련 문서들을 다수 확보했다. 이 창고에는 다스의 140억 환수 과정에서 다스가 청와대에 보고한 각종 문건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 재직 시절 청와대 문건이 다스 창고에 보관됐다는 것은 이 전 대통령이 다스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방증이 아니냐는 분석이다.


다스 설립과 운영에 이 전 대통령이 관여했다고 주장하는 진술과 정황 증거는 여럿 나온 상태다. 다스 전신인 대부기공 설립 초기부터 실무를 도맡은 김성우 전 대표는 “이 전 대통령이 대부기공 설립에 관여했다”라는 취지의 내용이 담긴 자수서를 최근 검찰에 제출했다. 이 전 대통령이 다스 실소유주 아니냐는 의심을 뒷받침하는 정황이 담긴 다스 관련자들의 녹취록도 잇따라 공개됐다. 검찰은 다스의 공간에 이 전 대통령의 국정 문건이 다수 나온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보고 수사를 전개 중이다. 검찰 관계자는 “압수 문건들이 대통령기록물에 해당하는지도 살펴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한편 이 전 대통령 측은 다스 관련 의혹이 사실이 아니라며 일축하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이 실소유자라는 의혹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게 이 전 대통령 측근들의 설명이다. 영포빌딩에서 발견된 청와대 국정 관련 문서에 대해서는 “실수로 섞여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고 검찰에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상헌인턴기자 aries@sedaily.com

한상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