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법 "택배 발신자 허위로 기재 사문서 위조에 해당"

법률·사회 생활상 의미있는 문서

다른 사람 이름으로 가짜 폭발물이 든 택배상자를 정부서울청사에 보내려다 실패한 20대가 공무집행방해죄는 물론 사문서 위조죄로도 처벌받게 됐다. 대법원 2부(주심 고영한 대법관)는 공무집행방해와 사문서위조 혐의 등으로 기소된 박모(26)씨의 상고심에서 사문서위조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깨고 사건을 광주지법 형사항소부로 돌려보냈다고 4일 밝혔다.


박씨는 지난해 4월 자신의 숙모를 발신인으로, 숙부의 회사를 발신지로 기재한 택배상자에 가짜 폭발물을 넣어 정부서울청사에 보낸 혐의로 기소됐다. 이 택배상자는 수취인 불명으로 숙부의 회사로 반송됐는데, 진짜 폭발물이라고 오인한 숙부의 신고로 경찰관과 소방관·군 병력 등 80여명이 출동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박씨는 평소 자신을 질책하는 숙부에게 불만을 품고 이런 일을 벌인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검찰은 박씨에게 공무집행방해 혐의와 함께 허위 발신인과 발신지를 적은 종이를 택배상자에 붙인 행위에 ‘사문서위조 및 위조사문서행사’ 혐의를 적용했다. 1심은 혐의를 모두 유죄로 판단해 징역 1년6월의 실형을 선고했다. 반면 2심은 “택배 발신인란 표시는 형법상 문서죄를 따질 수 있는 사문서로 볼 수 없다”며 사문서위조 혐의를 무죄로 판단하고 징역 1년 2개월로 감형했다. 하지만 대법원은 “사문서에 해당한다”며 2심 재판을 다시 하라고 결정한 것이다.

대법원은 “택배상자 발신인란에 부착된 이름과 주소를 적은 문서는 법률상 또는 사회생활상 의미가 있는 사문서로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법원은 공무집행방해죄를 인정해 징역 1년 2월을 선고한 원심의 유죄 판결은 그대로 확정됐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