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은, 기준금리 인상 시기 빨라지나

미국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 확대에 따라 금리 인상 시기를 앞당길 뿐만 아니라 연내 4차례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도 덩달아 빨라지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4일 국제금융센터와 채권시장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다음 달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올해 네 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하리라는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 내 인플레이션 압박이 예상보다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뉴욕 증시는 인플레이션 신호에 지난 2일 사상 여섯 번째로 큰 하락을 기록하기도 했다.


미국이 금리 인상 시기를 앞당기면 한국은행도 부담이 커진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1.25~1.50%로 상한이 우리의 기준금리와 같아 미국이 내달 금리를 올리면 양국 간 금리 역전이 일어난다. 이 경우 외국자본의 이탈 등 우려가 커질 수밖에 없다. 한은 역시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높일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 시장에서는 한은이 4~5월에도 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우리나라도 조만간 물가가 상승 기조로 접어들 것이란 분석도 이런 예측에 힘을 보탠다. 최저임금 16.4% 인상의 효과가 본격적으로 시장에 나타날 것이고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과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등이 물가 상승 압력을 자극할 수 있다는 것이다.

채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에 그쳤지만 이는 지난해 물가 급등의 기저효과가 컸다”며 “최근 경기 회복세와 최저임금 인상 효과 등을 고려하면 올해 2·4분기 이후부터는 물가 상승률이 2% 수준으로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빈난새기자 binthere@sedaily.com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