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국내 실명전환율저조 왜] 규제 강화에 투심 냉각…신규 자금유입 주저도

가상화폐 거래 실명제가 시행된 지 일주일이 흘렀지만 실명 전환율은 10%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적으로 가상화폐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투자심리가 얼어붙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IBK기업은행과 NH농협은행·신한은행은 지난달 30일부터 가상화폐 계좌 실명전환을 진행하고 있다. 이들 3개 은행이 실명제 전환을 해야 하는 계좌 수는 총 174만5,000개로 이 중 지난 4일까지 실명전환이 이뤄진 계좌는 8.21%인 14만3,300개에 불과하다.

0715A06 거래소별 실명전환율 현황





은행과 거래소별로 살펴보면 기업은행과 거래하는 업비트는 총 57만개 계좌 중 7만1,000개 계좌가 실명 확인을 해 전환율이 12.46%로 가장 높았다. 이어 신한은행과 코빗의 12만5,000개 계좌 중 1만2,300개 계좌(9.84%)가 실명으로 전환했고 농협은행의 코인원은 15만계좌 중 1만3,000계좌(8.67%)가 실명전환을 했다. 농협은행과 빗썸은 90만개 계좌 중 4만7,000계좌만 실명 확인을 해 전환율이 5.22%에 머물렀다. 실명 전환율이 느린 것은 투자자들이 신규 자금 유입을 주저하고 있어서다. 투자자들은 실명전환을 하지 않아도 원화 입금만 하지 못할 뿐 언제든지 가상화폐를 판 돈을 뺄 수 있고 기존에 넣어둔 돈으로 새로운 코인을 살 수 있다. 가상화폐 시세가 급락하면서 관련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도 2주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시간과 실행횟수는 한 달 전보다 50% 이상 급감했다. 이날 앱 분석 업체 와이즈앱은 지난해 10월30일부터 올해 2월4일까지 14주간 국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 2만3,000명을 표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