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무주택자 청약 당첨비율 27%포인트 올랐다

8·2대책 가점제 강화 영향

지난해 정부의 ‘8·2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이후 청약 가점제가 강화되면서 무주택 서민의 당첨 비율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월부터 올해 1월 말까지 서울에서 분양한 44개 단지의 청약당첨자 1만5,096명을 전수 조사한 결과 8·2대책 이후 무주택 당첨자 비율이 27%포인트가량 높아졌다고 6일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8·2대책을 통해 서울 지역을 투기과열지구로 지정했으며 무주택 서민의 청약 당첨 확률을 높이는 청약 가점제 개선안도 발표했다. 이후 8월3일부터 투기과열지구 지정이 효력을 발휘하면서 85㎡ 이하 주택은 청약 가점제 적용 비율이 기존 40%에서 75%로 높아졌으며 85㎡ 이상 주택은 50%로 높아졌다. 또 8·2대책에서 밝힌 청약제도 개선안이 9월20일부터 시행되면서 85㎡ 이하 주택은 100% 청약 가점제가 적용됐다. 가점제 물량이 증가하면서 85㎡ 이하 주택의 당첨 가점 커트라인(하한선)은 가점제 확대 이전 49.8점에서 가점제 확대 이후 44.0점으로 하락했다.

관련기사



이로 인해 무주택 서민의 내 집 마련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다. 지난해 1월부터 8·2대책 발표 전까지 서울 지역에서 주택 청약을 받은 당첨자 8,016명 중 69.6%인 5,579명이 무주택자였으나 8·2대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지난해 9월20일 이후에는 당첨자 5,242명 가운데 96.4%(5,055명)가 무주택자였다. 특히 소형 아파트일수록 무주택자의 당첨 확률이 높았다. 85㎡ 이하의 경우 8·2대책 이전에는 전체 당첨자 6,743명 중 76.0%(5,122명)이 무주택자였으나 대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후에는 전체 당첨자 4,787명 가운데 99.9%(4,781명)가 무주택자였다. 또 85㎡ 이상은 대책 발표 전 무주택자가 당첨될 확률이 35.9%였으나 대책 이후 60.2%로 높아졌다.

국토부 관계자는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시장 형성을 목표로 한 8·2대책에 따라 추진된 가점제 확대 등 청약제도 개편 방안이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 청약제도 개선에 따른 효과를 잘 살피면서 무주택 실수요자의 주택 당첨기회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