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구인·구직 미스매치가 심각한 중소제조업체를 중심으로 로봇을 보급해 인력난을 해소하고 생산성도 높인다는 복안을 내놨습니다. 우선 올해 50대를 시범 보급하는 등 2022년까지 전국 스마트공장 2만 곳에 로봇을 보급할 계획입니다. 보도에 정창신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오늘(7일) 지능형 로봇산업 발전전략을 내놨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제조로봇 시장에서 자동차, 전기전자 등 대형 장치산업의 비중이 93%에 달할 정도로 중소기업 로봇활용이 저조하다고 진단했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중소 제조업체의 경우 공장 노후화와 저임금 등으로 젊은 층이 취업을 기피하고 있고, 생산 현장에선 일꾼을 구하지 못하는 구인·구직 미스매치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이 같은 문제를 로봇이 일부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됩니다.
[싱크] 박태준 / 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
“반월·시화공단 이런 쪽에 영세한 제조업체들이 많지 않습니까. 그런 제조업체들의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기술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좀 더 좋은 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도 만들어줄 수 있으리라고 생각하고요.”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중소제조업을 중심으로 협동로봇을 개발해 단계적으로 보급을 늘려가기로 했습니다.
협동로봇은 인간 노동을 대체하는 로봇이 아닌 인간의 활동을 보조하고 협업하는 로봇을 말합니다. 일자리를 빼앗기 보단 부족한 인력을 대체할 수 있단 뜻입니다.
정부는 우선 올해 50대를 시범 보급하고, 2022년 스마트공장 2만 곳에 협동로봇을 보급할 계획입니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달 15일 혁신성장을 위한 기업간담회에서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2만개 보급 계획을 밝힌바 있습니다.
제조로봇 뿐만 아니라 서비스로봇 상용화도 추진됩니다.
노령인구 증가로 헬스케어·안전 등 삶의 질을 높이는 서비스로봇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2022년까지 성장 잠재력이 큰 스마트홈, 의료·재활, 재난·안전, 물류이송, 농업 등 5대 유망분야에서 서비스로봇을 개발해 상용화를 추진합니다.
여기에 상반기 중 로봇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규제도 발굴해 개선한다는 방침입니다.
[영상편집 김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