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서울 '실핏줄' 골목길 재생 본격 추진..후암동·성북동 시범사업 실시

도시재생 '면(面)' 단위서 '선(線)' 단위로 발상전환



용산구 후암동 골목길용산구 후암동 골목길




서울시가 골목길을 일·삶·놀이가 어우러진 곳으로 재생하는 ‘서울형 골목길 재생사업’을 올해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서울형 골목길 재생사업’은 일정 구역을 정해서 ‘면’ 단위로 재생하는 기존 도시재생사업과 달리 골목길을 따라 1km 이내 소규모 방식의 ‘선’ 단위로 재생을 추진하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골목길의 역사를 보존하고 낙후된 환경을 개선하며 공동체를 되살리는 것이 핵심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8월에 착수한 ‘서울형 골목길 재생 기본계획’ 용역을 올 3월에 마무리하고 오는 5월까지는 골목길 재생사업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기본계획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골목길의 현황부터 정의, 재생사업 추진대상과 방향 등이 담기게 된다. 6월엔 자치구 공모를 통해 사업대상지를 추가 선정하고 재생사업을 본격 확대 추진한다.


시는 기본계획 수립과 병행해 용산구와 성북구 2곳 골목길을 시범사업지로 선정해 주민 주도로 사업을 진행한다. 각 지역별로 주민, 자치구, 지역 전문가와 함께 현장 주민설명회, 심층면접, 객관적인 실태분석 등을 거쳐 5월 중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연내 사업에 착수한다.

관련기사



용산구 후암동 두텁바위로40길(길이 430m)은 남산과 인접해 있고 경사로에 마치 협곡처럼 위치해 있는 곳으로 폭 1~1.5m의 좁은 골목길이다. 시는 지역 내 활터골 경로당을 중심으로 골목전망대, 마을텃밭 등을 만들어 공동체 형성과 일자리 창출을 유도한다는 목표다.

성북구 성북동 선잠로2길(길이 800m, 폭 0.6~2m)은 조선시대 구릉지에 자연적으로 발생한 골목이다. 허물어져 가는 높은 담장이 위협적이고 좋은 경관을 막고 있어 담장을 낮추거나 막다른 골목 3~4채 가옥이 대문을 열고 골목을 마당으로 함께 활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아울러 서울시는 ‘골목길 재생 활성화 방안 마련 심포지엄’도 오는 3월 개최한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모로코의 도시 페스처럼 서울의 골목길도 자연지형, 역사와 문화, 시민의 흥미로운 삶을 담아내는 공간이 되도록 서울형 골목길 재생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