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백악관 "북미 무관심은 상호적"

"펜스, 고의적으로 北 피하지 않아"

북한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뒷줄 오른쪽)과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뒷줄 왼쪽), 미국 마이크 펜스 부통령(앞)이 9일 오후 평창올림픽플라자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을 지켜보고 있다.  /평창=연합뉴스북한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뒷줄 오른쪽)과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뒷줄 왼쪽), 미국 마이크 펜스 부통령(앞)이 9일 오후 평창올림픽플라자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을 지켜보고 있다. /평창=연합뉴스


평창올림픽에서 북미 접촉이 불발된 것과 관련해 미국 백악관은 고의적인 회피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미국 측은 북미 사이의 무관심은 상호적인 것이었다고 덧붙였다.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백악관 관계자들이 평창에서 서울로 돌아오는 부통령 전용기 안에서 미 취재단에 “펜스 부통령이 리셉션에서 고의로 북한 대표단을 피한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고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들은 “단지 다른 참석자에게 인사하는 지근거리에 북한 인사가 앉지 않았기 때문에 교류가 없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백악관 관계자들은 “북미 간 무관심은 상호적인(mutual) 것으로, 양측의 만남을 주선하려던 한국 측의 노력을 외면한 것”이라고 말했다고 폴리티코는 보도했다.


펜스 부통령은 이날 문재인 대통령이 올림픽 개회식에 앞서 각국 정상급 인사를 초청해 개최한 리셉션에 늦게 도착한 데다, 5분 만에 자리를 떴다.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대면하거나 악수를 나누는 일도 없었다. 이어 열린 개막식에서도 펜스 부통령은 문 대통령 내외의 왼편이자, 김영남 상임위원장과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 바로 앞줄에 자리를 잡았다. 펜스 부통령은 북측과 어떤 인사도 주고받지 않았고, 문 대통령이 뒤를 돌아 북측 대표단과 인사할 때에도 뒤를 돌아보지 않았다.

관련기사



백악관 관계자들은 “북한인들이 다정하게 펜스 부통령에게 다가왔다면, 펜스 부통령도 화답했을 것”이라며 “북한에 대한 미국의 수사에 배어있는 강경한 말들, 그리고 그 반대도 올림픽에는 적절치 않다”고 강조했다.

한 관계자는 “우리는 동맹들이 다 같이 앉아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며 “북한 인사들이 개막식에서 펜스 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문 대통령이 바로 앞에 있는 걸 보길 원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통해 ‘동맹은 견고하다’는 걸 보여줄 수 있었을 것”이라며 “펜스 부통령은 언제든 자리에서 일어나 떠나거나 다른 곳에 앉았을 수도 있었겠지만, 그러면 북한이 한국, 일본과 함께 앉아있는 모습을 상상할 수 있었을 테고 부통령은 계속 그 자리를 지켰다”고 설명했다. 또 “우리가 있었던 장소는 좋은 말을 해야 하는 곳이고, 스피드스케이팅을 두고 지정학적 얘기를 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라며 “펜스 부통령은 자기 메시지를 분명히 했다”고 덧붙였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