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에스티큐브, 난치성 암 치료 항체물질 개발

'PD-L1' 효능검증 美학술지 게재

에스티큐브(052020)는 13일 면역관문억제 단백질 ‘PD-L1’의 효능을 검증한 연구결과가 미국 암연구 학술지 ‘캔서 셀(Cancer Cell)’ 온라인판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미국 앰디엔더슨 암센터와 함께 연구를 진행한 에스티큐브는 삼중음성 유방암 등 난치성 암 종의 PD-L1 단백질에서 당화가 일어나는 점에 주목해 PD-L1에 결합하는 항체를 개발해 항암치료 효과가 증대된다는 점을 밝혀냈다. 에스티큐브가 개발한 항체는 면역세포의 작용을 무력화시키는 단백질의 결합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PD-L1의 내재화 및 분해 기능까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회사 측에 따르면 전임상 동물 실험 결과 종양이 획기적으로 사라지는 반응률은 71~86%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약물 부작용으로 인한 신장기능, 간기능에도 문제가 없어 새로운 항암제로 평가받고 있다. 에스티큐브 관계자는 “이번 논문은 국내 최초 PD-L1 면역관문억제제에 대해 연구한 것으로 캔서 셀에 에스티큐브 연구원들이 공동저자로 등재됐다”라며 “상업화를 목전에 둔 논문으로 글로벌 제약사를 통한 라이선스 아웃을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현재 PD-L1과 PD-1의 결합을 막는 항체는 개발돼 있으나 반응률이 15~30% 수준에 불과하다. 항체 치료를 받은 환자 중 크론병, 루푸스 같은 자가면역질환 부작용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 때문에 PD-1, PD-L1 차단의 효능과 안전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표적이 요구돼 왔다.

회사 측은 에스티큐브가 개발한 항체는 기존 항체들과 달리 독성이 적고 치료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에스티큐브는 작년 10월 대만 에이엘피에스바이오테크(ALPS Biotech)와 PD-L1 항체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을 진행한 바 있다.

박해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