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이 최종 폐쇄될 경우 대량해고 사태와 협력업체 줄도산에 이어 일자리를 찾아 도시인구가 빠져나가면서 소비가 감소하고 생산이 둔화되는 등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것.
앞서 조선·해운 구조조정 여파로 생산·소비가 감소한 울산·경남처럼 지역경제가 침체기에 빠질 것이란 우려도 제기됐다.
14일 전북지방중소기업청에 따르면 한국지엠 군산공장 직원은 2040명이며, 1·2차 협력업체 종사자 1만700명을 더하면 총 1만2740명이 이번 공장폐쇄로 직간접적인 실직사태에 놓일 전망.
한국지엠 측이 설령 군산공장 직원을 다른 창원이나 부천공장으로 재배치하더라도 공장폐쇄로 일감을 잃은 이 지역 협력업체는 사실상 줄도산에 처하게 돼 지역경제가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지엠 사태로 인한 인구감소 확대도 우려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군산시 인구는 2531명 순유출을 보였다. 인구 순유출은 도시로 전입해 온 인구보다 도시를 빠져나간 인구가 더 많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
군산시 인구는 2012년 1721명 순유입을 기록했으나 2013년 970명 순유출로 전환된 뒤 5년 연속 순유출을 기록했으며 지난해 최대 순유출을 보인 바 있다.
이는 한국지엠 측이 2013년 유럽시장에서 쉐보레 브랜드를 철수한 이후 2014년부터 쉐보레 등을 생산해 온 군산공장의 인력을 꾸준히 줄여 온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지엠은 판매감소에 따른 누적적자 해결을 위해 2014년 인력감축에 이어 2015년에는 하청업체 직원을 내보내는 식으로 인력 구조조정을 실시했다. 지역 최대 일자리가 없어지자 군산지역을 떠난 인구도 늘어난 것.
특히 군산공장 폐쇄에 따른 지역 인구 감소와 대량해고 사태는 군산시를 넘어 전북 지역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알려졌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북 지역 서비스업생산지수는 114.7로 전년동분기대비 0.4% 증가에 해당했다.
지난해 1분기 2.2%로 출발했던 생산증가율이 2분기 1.7%, 3분기 1.5%를 거쳐 4분기에는 1%도 채 안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지난해 4분기에는 자동차사업과 관련된 도소매업(-2.7%)과 전문·과학·기술(-9.2%) 분야 생산 감소가 두드러진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경기가 안좋자 소비도 급감했으며 지난해 4분기 전북지역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1.3% 줄어 들었다. 울산(-1.9%)·경남(-1.3%)에 이어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세번째로 큰 감소폭을 보였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지엠 사태에 따른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김관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결정으로 길거리에 내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인원이 1만명에 달한다”며 “군산이 무너지면 전북이 무너지고 전북이 무너지면 대한민국 경제에도 큰 영향이 있다”고 밝히면서 “(군산은) 지난해 군산조선소 폐쇄로 인해 50개가 넘는 협력업체가 폐업했고 관계 근로자 5000여명이 순식간에 일자리를 잃고 거리로 나앉았다”며 “문 닫은 식당과 상점이 즐비하고 빈집이 속출하고 있다”고 정부의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한편 이날 긴급 차관회의를 소집하고 대책을 논의한 정부는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해 지엠 측과 협의에 우선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일자리와 지역경제 등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해 한국지엠의 경영정상화 방안을 지엠 측과 지속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입장을 전했다.
앞서 한국지엠은 이날 구조조정 계획 발표를 통해 최근 3년간 가동률이 20%에 불과한 군산공장의 차량 생산을 중단하고 오는 5월 말까지 공장을 폐쇄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