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추사 김정희 글씨 3점 보물된다

30년간 고민하고 쓴 '침계'

서예가 인생·예술관 응축된

'대팽고회' '차호공공' 등

문화재청, 보물 지정예고

추사 김정희의 독창적 예술성과 인품이 두루 담긴 ‘침계’ /사진제공=문화재청추사 김정희의 독창적 예술성과 인품이 두루 담긴 ‘침계’ /사진제공=문화재청


추사 김정희(1786~1856)는 후배 윤정현(1793~1874)으로부터 자신의 호 ‘침계’를 써 달라는 부탁을 받고 무려 30년을 고민했다. 한나라 때부터 쓰인 옛 서체인 예서로 쓰고자 했으나 하필 ‘침’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고심 끝에 추사는 예서에서 발달한 서체인 해서와 예서를 합한 서체로 고안해 냈다. 과감하면서도 활달하고 학문적 깊이와 예술적 자유로움이 절묘한 조화를 이룬 ‘침계’ 두 글자가 화면 오른쪽을 가득 채우고 있다. 그 옆에는 약간 흘려 쓴 행서로 8줄의 발문이 적혔는데 지난 30년간 고민한 내용이 담겨 있다. 작품의 완성도를 위해 수십 년을 고민한 김정희의 작가적 태도와 그를 기다려준 윤정현의 인내와 우정이 어우러진 작품으로 평가된다.

추사 김정희가 쓴 ‘대팽고회’는 평범한 일상이 가장 이상적이라는 것을 푸짐한 상에 차려진 음식에 빗대 이야기 한다. /사진제공=문화재청추사 김정희가 쓴 ‘대팽고회’는 평범한 일상이 가장 이상적이라는 것을 푸짐한 상에 차려진 음식에 빗대 이야기 한다. /사진제공=문화재청


‘침계’를 비롯해 간송미술문화재단이 소장한 추사 김정희의 글씨 3점이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문화재청은 20일 “19세기 대표적 학자이자 서화가였던 추사 김정희의 ‘대팽고회’ ‘차호호공’ ‘침계’ 등 글씨 3점을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김정희 필 대팽고회(大烹高會)’는 작가가 세상을 뜬 해인 1856년(철종 7년)에 중국 명나라 문인 오종잠의 ‘중추가연’이라는 시를 인용한 작품이다. 예서로 쓴 글씨 두 폭이 서로 대칭을 이루는 대련(對聯)이다. “푸짐하게 차린 음식은 두부·오이·생강·나물이고, 성대한 연회는 부부·아들딸·손자라네(大烹豆腐瓜薑菜 高會夫妻兒女孫)”라고 적어 평범한 일상생활이 가장 이상적인 경지임을 뜻한다. 내용에 걸맞게 꾸밈없이 소박한 필치로 붓을 자유자재로 굴려 썼지만 노(老) 서예가의 인생관과 예술관이 짙게 응축된 대표작이다.

관련기사



추사 김정희가 쓴 ‘차호호공’ /사진제공=문화재청추사 김정희가 쓴 ‘차호호공’ /사진제공=문화재청


‘김정희 필 차호호공(且呼好共)’은 “잠시 밝은 달을 불러 세 벗을 이루고, 좋아서 매화와 함께 한 산에 사네(且呼明月成三友, 好共梅花住一山)”라는 문장을 예서로 쓴 대련 형식의 글씨다. 두 번째 폭에는 ‘촉(蜀)의 예서 필법으로 쓰다’라는 글귀를 넣어 중국 촉나라 시대의 비석에 새겨진 글씨를 응용했음을 밝혔다. 촉나라 예서는 단정하고 예스러운 필치가 특징이다. 이 작품은 금석학에 조예가 깊었던 김정희의 학문이 예술과 결합된 양상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며 운필(運筆)의 멋이 최고조에 이른 김정희 서예의 수작으로 꼽힌다.

문화재청은 “추사 김정희는 18세기 말부터 19세기까지의 세도정치 기간에 문인이자 정치가로 활동하였으며 금석문(金石文)의 서예적 가치를 재평가한 추사체(秋史體)를 창안해 한국 서예사에 큰 자취를 남겼다”면서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된 3건의 서예는 이같은 김정희의 학문적·예술적 관심과 재능을 이해하는 지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글씨 3건은 30일간의 예고기간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될 예정이다.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