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김광림 "손실 땐 보전..경북 내 대기업 추가 유치"

[6·13 지방선거 인터뷰] 김광림 경북지사 예비후보

40년 넘은 '경제통' 경력 살려

지역 일자리·소득 늘리고

가라앉은 도민 자존심 세울 것





6·13지방선거에서 경북도지사에 도전하는 김광림(사진) 자유한국당 의원은 25일 “40년 넘게 경제통으로 활동한 경력을 바탕으로 ‘경제도지사’가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는 지역 내 기업 유치를 활성화하기 위해 손실 보전 제도를 확대하겠다는 구상도 제시했다.

김 의원은 이날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경제관료 33년, 정치인으로 10년을 합쳐 인생 절반 이상을 경제·예산 분야에서 일했다”며 “지역 경제 발전에 필요한 ‘디테일’을 아는 게 가장 큰 자산”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경제기획원, 청와대 기획조정비서관, 재정경제부 차관 등을 거쳐 제18대 국회에서 정계에 첫발을 내디딘 뒤 20대 총선까지 예결위원·정책위의장 등을 지내며 경제·재정통으로 활약했다. 그는 지난 2008년 3조원이던 경북의 예산을 10조원까지 끌어올린 데는 정책 설계자로서의 자신의 이력이 큰 역할을 했다고 자부하고 있다.


경북 경기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손실 보전 제도’를 내놓았다. 대기업 공장을 유치해 지역 일자리 창출·경제 증진을 꾀하되 기업의 손실 발생 시 일정 기간 이를 보전하는 당근을 제시하자는 것이다. 김 의원은 “도비와 23개 시군의 각자 부담 예산으로 손해나는 부분 일부를 채워줄 수 있다”며 “안동의 경우 손해보전 조항을 넣어 SK케미칼의 백신 공장 유치를 이끌었는데 보전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밖에 포항 ‘첨단 연구개발(R&D) 산업 육성’, 경주 ‘신라 역사관 건립’, 북부권 ‘바이오 백신 클러스터 완성’ 등 23개 지역별 맞춤형 프로젝트도 경북 발전을 위한 김 의원의 장기 구상에 담겨 있다.

관련기사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해서는 “원전 중단을 이야기하기 전에 대체에너지 비율을 올리라”고 단호하게 말했다. 경북은 국내 원전 24기 중 절반(12기)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탈원전에 따른 여파가 클 수밖에 없다. 김 의원은 “이미 세워놓은 원전을 하지 말라거나 부수라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대체에너지 비율을 먼저 높여놓고 이에 맞게 원전을 줄이는 게 순서”라고 주장했다. 대신 원전 비중이 낮아질 경우 일자리 창출 및 소득 배가 효과가 큰 원전의 안전기술·해체기술 관련 산업을 경북 내에 유치해나갈 계획이다.

보수 재건의 출발점이 되겠다는 다짐도 거듭 밝혔다. ‘경북=보수 안심 지역’이라는 안일한 생각도 일찌감치 버렸다. 김 의원은 “최근 여론조사를 보면 경북 내 정당 지지율은 한국당이 50% 중반대로 높지만 민주당도 20% 언저리의 표가 늘 있다”며 “나 역시 경북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된 사람인 만큼 늘 조심한 마음으로 선거에 임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탄핵 정국 이후 보수가 많이 반성하고 열심히 해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며 “가라앉은 도민들의 자존심을 세우는 데 주력해 경북이 한국 보수 재건의 출발점이 되도록 애쓰겠다”고 말했다.

사진=권욱기자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