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어사 박문수' 편지 등 문화재 1,047점 숨긴 60대 덜미

문화재청 관계자 "회수된 간찰들 역사 자료 가치 높은 문화재"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가 27일 공개한 충남 천안 고령박씨 종중 재실에서 도난당한 간찰(편지)들의 모습./연합뉴스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가 27일 공개한 충남 천안 고령박씨 종중 재실에서 도난당한 간찰(편지)들의 모습./연합뉴스


암행어사 일화로 유명한 조선 시대 문신 박문수(1691-1756) 집안의 편지 1,000여 점을 장물업자로부터 사들여 숨긴 무허가 문화재 매매업자가 경찰에 검거됐다.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2008년 8월 충남 천안 고령박씨 종중의 재실(齎室·무덤이나 사당 옆에 제사를 지내려고 지은 집)에서 도난당한 간찰(簡札·편지) 1,047점을 은닉한 혐의(문화재보호법 위반)를 받고 있는 김 모(65)씨를 불구속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하고 간찰들을 모두 회수했다고 27일 밝혔다. 다만 경찰은 김씨가 간찰 절도에 직접 연루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고 문화재 은닉 혐의만 적용했다.


조사 결과 김씨는 문화재 매매업자로 등록돼 있지 않았으며, 2012년 한 장물업자로부터 간찰들을 사들여 충북 청주 자신의 집에 보관하다가 2014년 6월 문화재 매매업자 A씨에게 도난 사실을 알리지 않고 판매했다. 이후 A씨가 국사편찬위원회에 간찰들을 매도하겠다고 신청하면서 김씨의 범행이 드러났다. 경찰은 A씨가 간찰을 구매한 사실을 문화재청에 신고한 점 등에 비춰볼 때 김씨에게 속은 것으로 판단했다.

관련기사



문화재청 소속 문화재전문위원의 감정에 따르면 이번에 회수된 간찰 중 71건은 18세기 박문수가 가족들로부터 받은 것이며, 나머지는 박문수의 후손인 박영보와 그 아들들이 주고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일부 서신은 박문수가 병에 시달리면서도 시찰에 나섰던 내용을 담았다고 문화재청 관계자는 설명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회수된 간찰들은 고령 박씨 문중을 중심으로 사회사를 살펴볼 수 있어 역사 자료로서 가치가 높은 문화재”라고 말했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