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伊베를루스코니 “내 공직진출 금지 탓에 총선 성적 기대 못 미쳐”

베를루스코니 전 이탈리아 총리. /로이터연합뉴스베를루스코니 전 이탈리아 총리. /로이터연합뉴스




실비오 베를루스코니(사진·81) 전 이탈리아 총리가 자신이 이번 총선에서 총리 후보로 나설 수 없었던 것이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을 거둔 이유라고 한탄했다.

베를루스코니 전 총리는 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내가 공직에 나설 수 없다는 치명적인 약점에도 불구하고, 전진이탈리아(FI)의 득표와 정치적인 기여가 우파연합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자신이 이번 총리 후보로 직접 뛸 수 있었다면 더 많은 표를 얻을 수 있었다는 아쉬움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우파연합은 지난 4일 실시된 총선에서 약 37%를 득표, 상원과 하원 양원 모두에서 최다 의석을 확보했다. 하지만, 그가 이끄는 FI는 총선 전 여론조사의 지지율보다 낮은 14%의 표를 얻는 데 그쳐, 17.4%를 얻은 우파연합의 또 다른 구성원 동맹에 밀렸다. 우파연합은 총선에서 최다 득표를 하는 정당에서 총리 후보를 배출하기로 선거 전 합의함에 따라 향후 전개될 정부 구성 노력의 주도권은 베를루스코니 전 총리가 아니라 마테오 살비니(44) 동맹 대표가 쥐게 됐다.

관련기사



베를루스코니 전 총리는 이번 선거를 앞두고 우파연합의 구심점 역할을 했지만 지난 2013년 탈세 재판에서 유죄가 확정된 여파로 2019년까지 공직 진출이 금지돼 자신을 대체할 후보로 안토니오 타이아니 유럽의회 의장을 내세웠다. 타이아니를 앞세워 이탈리아 정계에 다시 예전과 같은 영향력을 행사할 계획이었지만 총선에서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면서 물거품이 됐다.

한편 이탈리아 총선에서 승리를 거둔 우파연합은 선거에서 최다 의석을 차지하긴 했으나, 정부 구성에 필요한 과반 의석을 얻는 데는 실패함에 따라 32%의 지지율로 최대 단일 정당으로 떠오른 오성운동과 연정 구성을 놓고 물러설 수 없는 경쟁에 돌입했다. 이와 관련, 동맹의 경제 담당 책임자인 클라우디오 보르기는 “가장 가능성 높은 정부는 오성운동과 민주당의 연정이 될 것 같다”면서도 “이탈리아의 미래를 위해서는 공통 분모가 존재하는 중도우파와 오성운동이 손을 잡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