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수원시는 지금…고은 시인 흔적 정리 중

소녀상 추모시비 철거하고 문학관 건립 철회

KT위즈도 고은이 쓴 시즌 캐치프레이즈 폐기

성추문으로 논란을 일으킨 고은 시인이 쓴 추모시비가 빠진 수원시 권선구 올림픽공원 내 평화의 소녀상. /연합뉴스성추문으로 논란을 일으킨 고은 시인이 쓴 추모시비가 빠진 수원시 권선구 올림픽공원 내 평화의 소녀상. /연합뉴스


경기 수원시가 후배 문인들을 성희롱·성추행했다는 의혹을 받는 고은 시인의 흔적 지우기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수원시는 지난달 28일 권선구 권선동 올림픽공원 내 ‘평화의 소녀상’ 옆에 설치돼 있던 고은 시인의 추모시비(가로 50㎝·세로 70㎝)를 철거했다. 이 추모시비는 고은 시인이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위해 쓴 시 ‘꽃봉오리채’를 새긴 것이다.

수원지역 시민·사회·종교단체로 구성된 건립추진위원회(현 수원평화나비)가 시민 성금으로 소녀상을 만들어 2014년 5월 제막하기에 앞서 고은 시인이 추모시를 써 헌납했다. 그러나 최근 고은 시인의 성추문이 불거지면서 수원지역 여성단체를 중심으로 철거여론이 커졌고 결국 수원평화나비가 성추행 논란에 선 시인이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추모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며 수원시에 철거를 요청했다.


김향비 수원평화나비 공동대표는 “고은 시인이 문학적으로 훌륭한 분이어서 추모시를 헌납했을 때는 무척 기뻤고, 감사했다”면서 “그러나 최근 그런 사실(성추행 의혹)에 너무 큰 충격을 받았다. 그런 사실을 미리 알았더라면 처음부터 설치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수원에 사시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에게 이런 사실을 말씀드렸더니 ‘잘했다’라면서 말씀하시며 고개를 끄덕이셨다”면서 “할머니에게 너무 죄송하다”고 덧붙였다. 수원평화나비와 수원시는 시민 의견을 모아 고은 시인의 추모비 자리에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추모하기 위한 다른 시설물을 설치할지를 결정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수원시는 고은 시인의 추모비를 철거하던 당일 팔달구 장안동 일대 시유지 6천㎡에 추진하던 ‘고은문학관’ 건립사업의 철회도 발표했다. 또 올해 고은 시인 등단 60주년을 기념해 추진할 예정이었던 각종 문학행사도 모두 취소했다. 또한 수원시는 앞선 지난달 18일 고은 시인이 5년 가까이 거주해온 수원시 장안구 상광교동 광교산 자락의 주거 및 창작공간(문화향수의 집)을 떠나 새로운 거처로 옮기겠다는 뜻을 전해왔다고 밝힌 바 있다.

고은 시인이 2013년 10월 수원 지동 벽화마을에 방문해 지동 주민에게 헌정하면서 친필로 벽화에 쓴 시 ‘지동에 오면’도 지워질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성추문 사태 이후 지동주민들이 고은 시인이 쓴 시를 벽화에서 지워달라는 요구해왔다”면서 “오늘 오후 수원지역 문학작가와 주민들이 벽화에 쓴 시를 지울 예정”이라고 말했다.

수원시 뿐 아니라 수원에 연고를 둔 프로야구구단 KT위즈도 고은 시인의 흔적을 지우기로 했다. KT위즈는 고은 시인이 지난해 9월 27일 경기도 KT위즈파크에서 열린 KT와 두산 베어스의 경기에 시구자로 나서면서 헌정한 창작시로 만든 캐치프레이즈를 폐기했다. ‘허공이 소리친다 온몸으로 가자’라고 외치는 짧은 시다. KT는 지난 1월 이 시를 2018시즌 캐치프레이즈로 선정했다고 발표했으나 고은 시인에 관한 미투 폭로가 나오자 이달 초 폐기를 결정했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