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청년일자리 늘었다?' 60세 미만 근로자 중 비정규직 높아진 연령대는

편의점 근무 직원에서 가정 상비약 선반를 정리하고 있는 모습/연합뉴스편의점 근무 직원에서 가정 상비약 선반를 정리하고 있는 모습/연합뉴스


60세 미만 근로자 가운데 청년층에서 비정규직의 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청년 일자리를 늘리는 것보다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0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를 분석해본 결과 청년층(15∼29세) 임금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의 비율은 2003년 8월 기준 31.8%였으나 2018년 8월에는 35.7%를 기록해 14년새 3.9% 포인트 높아졌다.


반면 청년층 임금근로자 가운데 정규직으로 일하는 이들의 비율은 68.2%에서 64.3%로 3.9% 포인트 하락했다.

연령대별로 나눠보면 60세 미만 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의 비율이 증가한 것은 청년층이 유일하다.


30∼39세의 경우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의 비율이 2003년 8월에 26.3%였는데 2017년 8월에는 20.6%로 줄었다. 또한 40∼49세는 31.2%에서 26.0%로, 50∼59세는 40.0%에서 39.9%로 각각 하락했다.

관련기사



60세 이상의 경우 비정규직의 비율이 65.8%에서 67.3%로 늘기는 했으나 증가 폭은 1.5% 포인트로 청년층보다 훨씬 적은 수치였다.

즉 청년층은 일자리를 구하기도 어려울 뿐더러 어렵게 취업하더라도 불안정직에 안착할 수 있다는 의미다.

한편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고용보조지표3’은 지난 해 청년층이 22.7%를 기록해 15세 이상 전체 연령대의 고용보조지표3(11.0%)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정가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