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국가적 치욕" 英 사우디 원조에 비난 고조

1억파운드 규모 계약 맺었지만

"불합리한 인권 상황 외면" 지적

지난 7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다우닝가에 있는 총리 관저에서 테리사 메이(왼쪽) 총리가 영국을 방문한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를 맞이하고 있다.  /런던=로이터연합뉴스지난 7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다우닝가에 있는 총리 관저에서 테리사 메이(왼쪽) 총리가 영국을 방문한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를 맞이하고 있다. /런던=로이터연합뉴스




영국 정부가 사우디아라비아에 안긴 1억파운드(1,482억원) 규모의 원조 계약을 두고 영국 내에서 ‘국가적 불명예’라는 비난이 나오는 등 논란이 커지고 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영국 정부는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의 런던 방문에 맞춰 1억파운드 규모의 원조 계약을 지난 9일 체결했다. 이번 원조 계약과 관련해 영국 정부 관계자는 “영국과 사우디의 새로운 장기적 파트너십은 최빈국 국민의 생계 개선은 물론 경제 발전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영국은 이외에도 사우디와 650억파운드(96조원) 규모 상당의 무역협정과 지난 10년간 단일 계약 중 최대인 유로파이터와 타이푼 등 차세대 전투기 48대를 판매하는 계약을 맺었다.

하지만 사상 최초인 양국 간 원조 목적의 개발기금 창설에 대해 영국 야권과 시민단체들은 잇따라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사우디가 경제적 이익을 위해 예멘 내전에 개입해 3년째 예멘을 폭격하고 있고 무분별한 사형 집행 등으로 최악의 인도주의적 위기를 유발하고 있다는 지적 때문이다.

케이트 오사모르 노동당 그림자내각 국제개발장관은 “이번 원조 계약은 세계 최대의 인도주의적 위기에 책임이 있는 국가와 손을 잡은 것으로 인도주의 지원의 글로벌 리더인 영국의 명성을 조롱한 것”이라며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는 빈 살만 왕세자에게 예멘 민간인에 대한 폭격을 중단하고 기근을 전쟁 무기로 이용하는 것도 금지해야 한다고 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예멘은 내전과 사우디의 폭격 등으로 840만명이 심각한 기근을 겪고 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