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대학 졸업자 취업통계에 산업별·전공별 취업현황과 급여 수준, 취업 기업 규모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기존 취업통계는 일자리의 질이나 유형과 상관없이 취업 여부만 나타나 학생들이 진로 계획을 세울 때 참고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번에 변경된 취업통계 조사계획으로 자료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21일 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할 때 취업통계를 활용할 수 있도록 대학 전공별 취업현황과 급여 수준, 기업 규모 등을 조사 결과에 추가한다는 내용의 ‘2018년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 계획’을 발표했다. 교육부 교육일자리총괄과 담당자는 “산업부문별 취업자 수와 각 대학 전공별 취업현황에 더해 건강보험 자료를 기반으로 평균 급여 수준과 기업의 규모를 파악해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일자리 질이나 유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취업통계를 악·오용하는 사례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해 자료의 신뢰성을 높일 계획이다. 김영곤 교육부 직업교육정책관은 이날 개최된 대학 관계자 연수에서 “취업통계가 올바르게 활용될 수 있도록 ‘취업률 1위 대학’ 등 무분별한 광고 등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하면서 “실제 취업하지 않았음에도 취업한 것처럼 취업률을 부풀리는 악용사례는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별도의 제재방안을 강구하는 등 엄정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는 일부 대학들이 대학 유형, 지역, 학생 수 등으로 모집단을 축소해 ‘00대 00권 전문대학 중 1위’, ‘00대 3,000명 이상 비수도권 대학 취업률 1위’ 등으로 표기하는 행태에 대한 지적이다. 아울러 대학 자체 통계자료를 공식 자료인 것처럼 교육부 취업통계와 혼용하는 학교에 대해서도 제재가 들어간다.
12월 발표예정인 올해 취업통계는 2016년 8월과 2017년 2월에 졸업한 학생들의 2017년 12월31일 기준 취업 여부를 바탕으로 한다. 각 대학이 먼저 졸업자 인적사항 등 기초자료를 제출하면 한국교육개발원이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업인력공단, 병무청, 국세청 등의 공공데이터베이스(DB)를 연계해 조사가 이뤄진다. 상급학교 등 진학자, 해외 취업자, 농립어업종사자, 개인창작활동종사자 등 공공DB로 취업여부가 미확인 되는 졸업생들은 다시 학교에서 조사해 결과를 반영한다.
이후 올해 3월, 6월, 9월, 11월 등 매 분기마다 취업상태 유지 여부를 파악해 정보를 갱신하며, 세부적인 결과는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 누리집에서 내년 1월 중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