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美증시, 파월 신호에 갈팡질팡 속 약세 마감

다우지수 FOMC 후 하락세 못벗어 0.18%↓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21일(현지시간) 연준의 통화정책 회의 결과가 다소 매파적으로 다가오자 약세를 나타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44.96포인트(0.18%) 내린 24,682.31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5.01포인트(0.18%) 하락한 2,711.9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9.02포인트(0.26%) 떨어진 7,345.29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지수는 장 초반에는 일제히 강세를 보였지만 오후 들어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가 발표된 후 하락과 반등을 거듭하다 결국 약세로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 로고뉴욕증권거래소 로고



업종별로는 유가 상승에 힘입어 에너지업종이 2.6% 강세를 보였다. 소재와 산업이 각각 1%와 0.1% 오르고 나머지 업종은 일제히 내렸다.

필수 소비재가 1.3% 하락해 낙폭이 가장 컸으며, 부동산 0.9%, 통신 0.8%, 기술 0.6% 순서로 하락세를 보였다.

이날 연준은 FOMC 회의 후 기준금리를 예상대로 1.50~1.75%로 25bp 인상했다.


연준은 경기를 낙관하면서도 올해 기준금리 인상횟수는 올리지 않는 등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정책 포석을 보였다.

관련기사



연준은 올해 기준금리 인상횟수 전망을 3차례로 유지했지만, 내년은 기존보다 한 차례 많은 3차례로 늘렸다.

연준은 또 올해 경제 성장률이 기존 예상치인 2.5%보다 높은 2.7%를 보이고, 내년에도 2.1%보다 높은 2.4%를 나타낼 것으로 내다봤다. 또 올해 실업률이 지난해 12월에 내놨던 3.9%보다 낮은 3.8%일 것으로 전망했다.

연준은 하지만 물가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올해와 내년 각각 1.9%와 2.0%인 종전 전망치를 유지했다.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점진적인 금리 인상이 연준의 목표”라며 “물가 상승이 가속한다고 할만한 지표가 없다”고 말했다.

파월은 또 주식, 상업용 부동산을 포함한 일부 자산 가격이 역대 기준보다 높지만, 주택시장은 아니라며 이점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소셜미디어 업체 페이스북의 주가는 최근 이틀간 9%가량의 하락 후 이날 저가매수세가 나와 0.7% 올랐다. 페이스북은 데이터 회사인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CA)가 페이스북에서 얻은 개인정보를 토대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캠프에 유권자의 성향을 분석한 데이터를 제공한 사실이 보도되면서 주주 집단 소송과 가입자의 대규모 탈퇴 조짐에 직면했다.

미국 식료품 제조사인 제너럴 밀스의 주가는 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을 웃돌았지만 향후 실적에 대한 비관론으로 8.8% 하락했다. 제너럴 밀스는 지난 2월 25일로 마감된 분기의 순이익이 9억4,100만 달러(주당 1.62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애널리스트들은 22일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수출품에 대해 보복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어서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뉴욕 = 손철 특파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