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난치성 소아 뇌전증 환자 'NGS 유전자변이 검사'로 가려낸다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강훈철 교수팀

뇌전증 어린이 37%서 변이 확인

약 써보기 전에 조기 진단 길 터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 어린이 환자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유전자 패널 검사로 조기에 진단해내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26일 세브란스병원에 따르면 강훈철 어린이병원 소아신경과 교수팀은 소아 뇌전증 환자 278명을 대상으로 NGS 유전자 패널(묶음) 검사를 해 37%의 난치성 뇌전증 환자에서 변이 유전자를 확인했다.

소아 난치성 뇌전증은 잦은 발작으로 정신지체·발달장애 위험이 커 빠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하지만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등에서 원인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쉽다.


이런 상황에서 치료제를 써보지 않고 혈액으로 유전자를 분석하는 것만으로 난치성 뇌전증 여부를 진단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변이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뇌전증은 뇌신경세포의 일시적이고 불규칙한 이상 흥분현상으로 생기는 질환이다. 대부분의 뇌전증은 약물치료로 호전되거나 관리 가능하지만 20~30%는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을 앓는다.

강 교수는 “NGS 유전자 패널로 많은 질병 관련 유전자의 변이 여부를 한꺼번에 분석할 수 있게 됐고 연구실 내 빅데이터 등이 쌓이면서 난치성 뇌전증 유전자를 규명할 수 있게 됐다”며 “연구 결과가 치료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교수팀은 유전자 변이가 발견된 환자의 피부·혈액세포을 이용해 만든 신경세포로 약물의 효과를 예측하는 방법도 연구 중이다. 강 교수는 “유전자 변이 분석결과와 약물의 치료 효과를 비교 연구하면 환자 맞춤형 치료제를 찾아내 정밀의학 시대를 앞당길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뇌전증 연구’(Epilepsy Research) 2월호에 실렸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