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대북강경파 볼턴 “北 시간 벌려고 협상 끌것…바로 본론으로 들어가야”

인터뷰서 ‘핵탄도미사일 완성용 시간벌기’ 경계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 내정자 /로이터연합뉴스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 내정자 /로이터연합뉴스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 내정자가 북한이 핵미사일 기술을 고도화하기 위해 비핵화 협상의 시간을 끌 가능성이 있다며 경계감을 드러냈다.

볼턴 내정자는 25일(현지시간) 뉴욕의 라디오채널 AM970 ‘더 캣츠 라운드테이블’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은 핵탄두들을 실제로 미국 내 표적까지 운반할 수 있도록 만드는 데 필요한 것들이 상당히 제한돼 있다. 그들은 시간을 벌려고 협상을 최대한 천천히 굴려가려고 할 것”이라며 “이것이 그들이 지난 25년간 한결같이 해온 일”이라고 강조했다.


볼턴 내정자는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할 것인가”라고 반문하며 북미 대화에서 이 문제들과 관련해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는 북한의 동기가 여기에서 무엇인지를 살펴봐야 한다”면서 “그들은 버락 오바마와는 다른 대통령이 백악관에 있다는 것을 걱정하고, 대통령이 이미 가해온 압력도 걱정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볼턴 내정자는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주 행정명령을 통해 최대 600억 달러(약 65조원)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관세 패키지’ 등을 발표한 데 대해 “어느 정도 충격 요법이 될 수 있다”며 “중국의 주의를 끌어 좋은 영향을 미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너무 오랫동안 중국은 세계무역기구(WTO) 안에서의 위치를 활용해왔다”며 “중국은 지적 재산권·특허 정보·저작권·상표권·기업 정보 등을 훔쳐왔다. 그들은 그 정보를 훔치면서 특허나 저작권을 존중하지 않는다. 그것을 훔쳐 자기 것을 만든다. 그것은 절도”라고 비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은 지적 재산권 보호를 존중할 것과 자국 기업들에 보조금을 지급함으로써 외국인 투자를 차별하지 않기로 약속했다. 나는 중국이 한 합의를 지킬 것을 주장하는 것뿐’이라고 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