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미세먼지 기준 강화…‘알프스 프로젝트 사업’ 46개로 확대

경기도가 27일부터 정부의 미세먼지 환경기준이 현행 50㎍/㎥에서 35㎍/㎥으로 강화됨에 따라 취약계층이나 대중교통 이용자를 대상으로 마스크· 공기청정기 등을 확대 지원한다.

도는 이날 이런 내용을 담은 ‘2018년 알프스프로젝트 사업계획’을 발표하고 관련 사업을 지난해 40개에서 올해 46개로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알프스프로젝트는 도가 추진 중인 미세먼지 저감 대책이다.

도가 올해 추가로 추진하는 알프스 프로젝트 사업은 민감계층 따복마스크 무상보급,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한 마스크 보급, 민감계층 공기청정기 지원, 취약계층 맑은 숨터 조성 확대, 광역버스 공기청정기 설치, 경기북부 영세사업장 청정연료 전환사업 등 6개다.

따복 마스크 무상보급 사업은 시·군과 협력해 미세먼지 민감계층인 7세 이하 어린이와 만 65세 이상 보건소 진료 어르신을 대상으로 따복마스크 280만매를 단계적으로 보급한다.


또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해 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미세먼지 마스크도 보급한다. 도는 올해 미세먼지 비상저감 조치 발령 시 버스 이용객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마스크 375만매를 무료로 보급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공기청정기는 법적 규모 미만의 건강취약계층(어르신·장애인) 이용시설 1만898개소와 도내 어린이집 1만1,825개 등 모두 2만2,723개소를 대상으로 현재 설치가 진행 중이다.

또 도는 6억5,000만원을 들여 포천과 양주·파주·남양주 등 16개 영세사업장의 고형연료·벙커C유 보일러를 LPG 등 청정연료 보일러로 교체할 방침이다.

이밖에 도는 올해 시범사업으로 33억원을 투입해 이르면 올 하반기부터 광역버스 2,200대에 공기청정기를 설치하고, 미세먼지나 황사주의보 발령 시 가동할 계획이다.

도는 오염물질 감시용 드론 7대를 투입해 미세먼지 발생사업장에 대한 검사를 강화하기로 했다. 또 정확한 미세먼지 농도 및 예측상황 알림을 위한 ‘정밀측정소’도 안산·평택·포천에 추가로 설치된다. 특히 도민에게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안내하기 위해 77개소인 안내 전광판을 오는 2020년까지 111개소로 확대할 계획이다.

도는 미세먼지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경유차에 대한 미세먼지 저감 대책도 추진한다. 2020년까지 5만대 수준으로 전기차를 확대하고, 경유 버스도 2027년까지 전면 전기버스로 교체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전기차 충전기도 현재 2,600기 수준에서 1만3,000기로 확대하기로 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