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세운상가 남쪽 '창작인쇄산업' 거점으로 재탄생

서울시, 세운 프로젝트 2단계 추진

12층규모 '인쇄 스마트앵커' 신축

인쇄 기술·최신 디자인 결합 나서

박원순 서울시장이 27일 오전 서울 중구 PJ호텔에서 열린 다시ㆍ세운 프로젝트 2단계 착수발표 현장설명회를 마치고 세운상가 일대 인쇄골목을 방문해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박원순 서울시장이 27일 오전 서울 중구 PJ호텔에서 열린 다시ㆍ세운 프로젝트 2단계 착수발표 현장설명회를 마치고 세운상가 일대 인쇄골목을 방문해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도심 세운상가(진양·인현·삼풍상가) 일대 인쇄골목이 ‘창작인쇄산업’ 거점으로 육성된다. 서울시는 디지털미디어 등장으로 쇠퇴하고 있는 세운상가 인쇄골목을 혁신하기 위해 토박이 인쇄 장인들의 기술과 청년창작자들의 최신 디자인을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산업 재생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7일 서울 중구 호텔 PJ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다시·세운 프로젝트’ 2단계 사업을 2020년 4월 완료를 목표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7개로 이뤄진 세운상가군과 그 주변을 1·2단계로 나눠 활성화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세운상가 북쪽(세운·청계·대림상가)을 정비해 제조업 창업기지로 만드는 1단계 사업은 지난해 9월 마무리했다. 올해부터 2020년까지는 세운상가 남쪽(삼풍상가∼호텔PJ∼인현상가∼진양상가)을 창작인쇄산업 중심지로 바꾸는 2단계 사업을 진행한다.


세운상가가 자리한 중구에는 서울 인쇄업체 67.5%(5,500여곳)가 밀집해 있지만 현재는 낙후한 환경과 산업 지형도 변화로 경쟁력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서울시는 침체된 인쇄골목을 재생하기 위해 우선 거점 역할을 할 ‘인쇄 스마트 앵커’를 새로 짓는다. 지하 6층∼지상 12층의 신축 건물에 인쇄 관련 기술연구·교육 기관과 전시·판매시설, 공동장비실이 들어선다. 청년들의 주거와 창업 공간을 결합한 청년사회주택도 2020년까지 400호 규모로 공급한다.

세운상가군 건물에는 인쇄 관련 스타트업 입주공간인 ‘창작큐브’를 새롭게 설치한다. 토박이 인쇄 장인들의 기술과 청년들의 아이디어·최신 기술을 결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진양상가에는 출판작가와 세운상가 일대 인쇄업체가 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인현상가 지하에는 인쇄기술학교, 공방, 인쇄박물관 등을 만든다. 서울시는 인쇄골목 재생을 위해 지난해 6월 세운상가 일대 30만㎡를 인쇄산업 특정개발진흥지구로 지정한 바 있으며 인쇄골목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산업진흥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인쇄업 활성화와 함께 세운상가군 7개 건물 전체를 보행길로 연결하는 작업도 진행된다. 지난해 9월 세운∼청계·대림상가 구간 공중 보행교를 복원한 서울시는 이번에는 삼풍상가∼호텔PJ∼인현상가 구간에 공중 보행교를 놓는다. 이렇게 되면 종묘에서 시작해 세운상가를 거쳐 남산까지 이어지는 남북 보행축이 생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020년까지 세운상가를 제작, 판매, 주거, 상업 기능이 결합한 ‘메이커시티(Maker City)로 완성해 도시재생 10년 혁명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