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머니+ 훈풍 부는 코스닥 시장]벤처펀드 출범·지수 정기변경 앞둬...연기금, 3월에만 1,000억 순매수

5일 첫선 코스닥벤처투자펀드

50여 운용사 100개 상품 선봬

1인당 3,000만원까지 稅 혜택

공모주 30% 우선배정 인센티브도

코스닥150지수 6월 정기변경에

인덱스펀드 규모 5조대로 늘어




직장인 김승호(36) 씨는 지난해 하반기 코스닥150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샀다. 지난달 초 김 씨는 전량을 매도했고, 30%를 훌쩍 넘기는 쏠쏠한 수익을 남겼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코스닥 랠리’가 이어지며 코스닥 투자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700선 아래에 있던 코스닥이 지난 1월 16년 만에 900선을 돌파하며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정책인 중소·벤처기업 육성에 따라 금융당국도 코스닥시장 활성화에 적극 앞장서는 분위기다.

코스닥 벤처투자 펀드, 코스닥150지수 정기변경 등 코스닥시장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연기금들도 지난 달 초부터 코스닥 투자를 본격화하며 시장의 수급 개선에 힘을 쏟는 중이다. 연기금은 지난달에만 코스닥 시장에서 1,000억원이 넘는 금액을 순매수하며 시장 투자를 늘리고 있는 추세다.


◇코스닥 벤처투자 펀드, ‘1석 3조’ 효과= 이달 5일 코스닥 벤처투자 펀드가 시장에 처음으로 선보인다. 삼성액티브자산운용, 하나UBS자산운용, 현대자산운용, 현대인베스트먼트자산운용, 브레인자산운용 등 자산운용사들은 코스닥 벤처공모펀드 출시를 준비 중이다. 금융당국은 ‘코스닥 벤처펀드 붐’을 조성하기 위해 동시에 상품을 출시하겠다는 방침이다.

코스닥 벤처펀드는 벤처기업 신주에 15%, 코스닥 상장 중소·중견기업 신주 또는 구주에 35%를 투자해야 하는 펀드다. 코스닥 벤처 생태계 활성화 차원에서 펀드 투자 시 세제 혜택을 준다. 코스닥 벤처펀드의 경우 1인당 투자금액의 3,000만원까지 10%의 소득공제혜택이 주어진다. 특히 공모주 물량 중 30%까지 우선 배정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는 계획으로, 코스닥 벤처 투자에 강점을 지닌 자산운용사들이 적극적으로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신규 출시라는 점 등을 감안해 1년간 운용 유예기간을 설정, 벤처기업 투자 비중을 50%가 아닌 35%만 채워도 코스닥 벤처펀드로 인정해주기로 했다. 벤처기업 신주나 벤처기업 해제 후 7년 이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신주·구주 중 그 어떤 자산도 관계없이 비중만 채우면 되는 셈이다.


공모펀드뿐 아니라 사모펀드 운용사들까지 코스닥 벤처펀드를 계획함에 따라 올해의 히트상품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첫 출시일에 맞춰 펀드를 내놓을 운용사는 모두 50여 곳. 사모펀드 운용사 42개와 공모펀드 운용사 6개사가 준비하고 있다. 49인 규제를 적용받는 사모펀드 운용사들이 각각 2~3개씩 펀드를 만들 계획으로, 시장에 선보이는 펀드는 약 100여 개에 달할 전망이다.

관련기사



특히 벤처투자 신주는 전환사채(CB)나 신주인수권부사채(BW)도 포함된다. 이 때문에 메자닌 투자에 강점이 있는 전문 사모운용사들이 주축이 돼 펀드 설정을 준비 중이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앞서 헤지펀드로 고액자산가들에게 인정을 받은 만큼 이번에도 자산가들을 타깃으로 신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판매 최소금액을 10억원으로 설정하고 개인자산가들을 대상으로 사모펀드를 판매해 총 1,000억원의 자금을 모으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메자닌에 강점이 있는 라임자산운용도 운용 전략을 달리하는 세 가지 종류의 코스닥 벤처펀드 출시를 준비중이다. 세 개 펀드 모두 기본적으로 벤처기업 신주 15%를 담는다는 전략은 동일하다. 하지만 나머지 35%를 메자닌(CB·BW)으로 채울 수도 있고, 아니면 좀 더 공격적으로 코스닥 성장주만 담은 펀드도 가능하다. 또 다른 전략은 나머지 35%에 코스닥 성장주를 채우면서도 리스크를 헤지하기 위해 코스닥 선물을 매도하는 구조다.

◇코스닥150지수 정기변경 앞두고 자금 몰려=코스닥 벤처펀드에 이어 오는 6월 코스닥150 지수 정기변경도 시장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코스닥150 지수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1,269개 종목 중 시가총액·유동성·업종 분포 등을 고려해 150종목을 선정, 산출한다. 정기변경을 앞두고 투자자들은 코스닥150 인덱스펀드를 사들이고 있다. 연초 2조5,000억원 수준이던 코스닥150 인덱스펀드 규모는 최근 5조원까지 늘었다. 특히 코스닥150에 투자하는 ETF에 기존 인덱스펀드보다도 더욱 많은 자금이 몰렸다. 국내 상장된 14개의 코스닥150 ETF에는 연초 이후 9,000억원이 넘는 자금이 유입됐다. 김후정 유안타증권(003470) 연구원은 “연초 이후 레버리지 등이 포함된 인덱스기타 유형과 코스닥150 관련 펀드, 바이오헬스 섹터 펀드 등이 포함된 인덱스 섹터 유형 펀드의 성과가 좋았다”며 “올해 주식펀드 유입은 코스닥150 관련 펀드와 중소형주 펀드가 중심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코스닥 시장이 활성화되자 정부는 코스닥 기업들에 대한 보고서를 대폭 확대하며 투자정보 제공에 나설 예정이다. 코스닥과 중소형 상장사는 분석 보고서가 너무 적어 개인투자자들이 객관적인 정보를 얻기 어렵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코스닥 상장사 1,200개사를 대상으로 보고서 작성을 의무화할 예정이다.

한국거래소는 기술신용평가기관(TCB)을 선정해 기업의 기술과 신용을 전문적으로 평가, 기술기업을 중심으로 보고서 작성을 맡길 계획이다. 현재 한국기업데이터와 나이스평가정보, 나이스디앤비 등 5곳이 한국거래소에 신청했으며, 거래소는 이들이 제출한 보고서를 참고해 2~3곳을 선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거래소는 이달 중기특화증권사를 선정한 뒤 이들에게도 코스닥 상장사 보고서 작성 업무를 맡길 예정이다. TCB가 600~700개사, 중기특화증권사가 200여 개사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할 계획이며, 지속적으로 확장할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거래소와 한국예탁결제원, 금융투자협회 등이 자금을 출자해 사업을 시작할 것”이라며 “기존에 증권사 애널리스트가 작성하는 보고서와 유사한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