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포스코 국내 첫 수산화리튬 생산

고성능 전기차용 배터리 소재

연산 1,500톤 규모 설비 준공

광양제철소 PosLX 공장 수산화리튬 생산라인 전경./사진제공=포스코광양제철소 PosLX 공장 수산화리튬 생산라인 전경./사진제공=포스코



포스코는 광양제철소에서 국내 최초로 연산 1,500톤 규모의 수산화리튬 생산 라인을 준공하고 이달부터 생산에 들어간다고 2일 밝혔다.

수산화리튬은 탄산리튬과 함께 리튬 이차전지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대표 소재다. 탄산리튬은 노트북과 휴대폰 배터리 등의 소재로 쓰는 반면 수산화리튬은 고성능 전기차용 배터리에 주로 사용한다.


포스코가 준공한 수산화리튬 라인에선 폐(廢) 이차전지에서 수거한 인산리튬을 전환농축 작업을 거쳐 수산화리튬으로 만드는 공정이 이뤄진다. 리튬회수율은 80% 이상이며 불순물 함량도 경쟁사 제품 대비 30% 수준으로 낮다. 제조과정에서 고형 폐기물도 발생하지 않는다.

관련기사



포스코는 생산한 수산화리튬을 인증절차를 거쳐 LG화학·삼성SDI 등 국내외 배터리제조사에 판매할 계획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국내 업체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품위 수산화리튬을 공급하게 되면서 국내 리튬 이차전지 산업의 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리튬 이차전지에 들어가는 모든 소재를 공급하겠다는 포스코의 목표가 현실화하고 있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리튬은 포스코의 핵심적인 신성장동력이며 지난 8년간의 노력으로 상업화 초기 단계까지 왔다”며 “리튬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공급하지 못했던 소재를 포스코가 책임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포스코는 지난 2010년 리튬 직접추출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으며 지난해 2월부터 광양제철소 리튬 공장에서 탄산리튬을 생산하고 있다. 탄산리튬에 이어 1년여 만에 수산화리튬까지 생산에 성공함으로써 연산 2,500톤(탄산리튬 1,000톤, 수산화리튬 1,500톤)의 리튬을 생산할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는 안정적인 원료 수급을 위해 리튬 광석으로도 리튬을 추출할 수 있는 설비를 올해 내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