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교육청, 사립고 교직원 채용비리 의혹 수사의뢰

부산시교육청은 교직원 채용비리 의혹이 있는 A학교법인과 법인 소속 B고등학교를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고 4일 밝혔다. 부산시교육청이 지난해 말부터 자체 감사한 결과, A학교법인은 지난 2015년 12월 이사장 손자인 ㄱ씨를 B고등학교 역사교사로 채용하는 과정에서 각종 비리 의혹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부산시교육청에 따르면 당시 A학교법인은 역사, 국어, 수학 교사를 채용하기 위한 평가관리위원을 구성하면서 ㄱ씨가 이사장 손자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법인 이사와 학교 교직원만으로 구성했다. 또 출제위원을 과목별 2명으로 구성한 뒤, 이들을 출제, 감독, 채점 등 1차 필기시험 전 과정에 참여시켜 누구의 답안지인지 알고 채점할 수 있도록 했다.

시험문제는 출제자들이 합숙하면서 함께 출제해야 하는데도 교육학 문제는 출제자 가운데 한 사람이 합숙을 시작하기 전 미리 출제했고, 전공과목(국어·수학·역사)의 경우는 채점기준표도 작성하지 않았다. 아울러 보존기간이 준 영구인 채용 관련 서류 중 유독 이사장 손자가 응시한 역사 과목의 학습지도안은 전부 폐기해 학습지도안 평가를 적정하게 했는지 판단할 수 없도록 했다. 반면 국어와 수학 과목 응시자의 수업 실연 학습지도안은 모두 보관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A법인 이사장은 손자 ㄱ씨를 2016년 3월 B고등학교 역사교사로 채용하려고 수년 전부터 계획했던 정황도 나타났다. A법인은 지난 2012년 교원수급 현황표를 작성하면서 2015년 2월 B고등학교 역사교사 1명이 정년퇴직하는데도 채용 적기인 2015학년도가 아닌 2016학년도에 역사교사를 신규 채용하는 것으로 계획했다. 이렇게 채용 시기를 늦춘 이유는 지난 2013년 교육대학원에 입학한 ㄱ씨가 2016년 2월 역사과목 교사자격증 취득예정자였기 때문으로 부산시교육청은 추정했다.

관련기사



또 2015학년도 신규교사 채용 때에는 1차 필기시험을 부산시교육청에 위탁했지만, 2016학년도 신규교사 채용은 필기·실기·면접 전 과정을 자체적으로 시행했다. 부산시교육청은 사립학교의 교원임용 업무 부담을 줄여주고 사립교원 채용과정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난 2005년부터 사립학교 신규교원 채용시험 위탁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부산시교육청은 이런 여러 정황을 감안할 때 채용과정에서 특혜나 불법행위 등 비리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수사를 의뢰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부산시교육청은 B고등학교가 2014년 12월 학교 행정실장의 아들인 ㄴ씨를 행정실 직원으로 채용하는 과정에서 응시자 2명 중 1명이 행정실장의 아들이었는데도 특수관계자인 행정실장 ㄷ씨가 교장, 교감과 함께 평가위원으로 참여한 사실도 밝혀냈다. B고등학교는 행정실 직원 채용을 위한 공고문을 내면서 컴퓨터 활용능력 우수자를 우대하고 자필 이력서를 제출하라고 명시했음에도 이런 내용을 점수에 반영하지 않고 주관적인 평가항목만으로 행정실장 아들인 ㄷ씨를 최종 합격자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부산교육청은 면접문제 유출이나 위원 간 사전 모의 등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이에 대한 비리도 수사를 통해 밝혀낼 계획이다.

이일권 부산시교육청 감사관은 “비리행위가 밝혀지면 원칙에 따라 관계자는 엄중 처벌하고 법인에도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사립학교 교직원 채용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이뤄지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살펴 채용비리를 근절해 나갈 계획”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