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보험

[서울경제TV] 보험업계, 유병력자 실손보험 "No"·간편심사보험 "Yes"



[앵커]


이번 주부터 경증 만성질환자들도 가입할 수 있는 유병력자 실손보험이 출시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정부의 정책성 보험상품임에도 정작 여기에 참여한 보험사는 고작 7곳에 불과합니다.

한편 같은 유병력자 대상 상품인 간편심사건강보험에는 보험사들이 출시와 판매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대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정훈규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일부터 삼성화재와 현대해상, KB손보와 DB손보 등 7개 보험사가 유병력자 실손의료보험 판매에 돌입했습니다.

이밖에 삼성생명 등 3개 보험사가 상반기 내 출시 계획을 밝혔습니다.

이 상품은 기존에 실손 가입이 어려웠던 당뇨병 등 경증 만성질환자들을 위해 정부가 심사제도를 개선해 마련한 정책보험 상품인데, 국내 40여개 보험사 중 약 25%만 참여한 겁니다.

보험사들이 이 상품 출시를 꺼리는 것은 유병력자의 경우 건강한 사람에 비해 병원 이용횟수가 많아 손해율이 과도할 것으로 우려되는 탓입니다.


기존 일반 실손보험도 손해율이 130%를 넘는 상황이라 참여한 보험사들도 정부 정책에 호응해 출시하는데 의의를 두고 판매에는 적극 나서지 않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대조적으로 보험사들은 같은 유병력자 대상 상품인 간편심사건강보험 출시와 판매에는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간편심사보험은 유병자 보험이라고도 부르는데 과거 병력이 있거나 고령자도 가입할 수 있도록 심사 과정과 서류 등을 간소화한 것이 특징입니다.

최근 더케이손보와 동양생명, 흥국생명 등 유병력자 실손에 참여하지 않은 보험사들이 이 상품을 내놨고, 삼성화재와 KB손보 등은 인수조건을 대폭 완화해 가입 가능 대상을 더 늘렸습니다.

유병력자 실손보험과 간편심사보험의 가입대상은 동일하지만 업계의 반응이 다른 이유는 결국 수익성입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간편심사보험은 실손과 달리 모든 의료비에 대해 실제 비용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암과 뇌출혈 등 중대 질병 및 특정 입원, 수술에 대해서만 정액으로 보험금을 지급해 손해율 관리가 훨씬 용이하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진단비의 경우도 1회성 담보로 한번 지급하면 담보가 소멸하기 때문에 실손처럼 지속적인 과잉진료 위험도 없다는 설명입니다.

유병력자 실손보험은 출시 전부터 그동안의 정부 정책상품 실패 전철을 반복할 것이란 우려를 사왔습니다.

정부는 복지에 신경 썼다는 생색을 낼 수 있지만 이윤창출이 목표인 민영 보험사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아 판매를 기피할 것이 불 보듯 뻔한 탓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설계사 입장에서도 팔아봐야 남는 게 없는데 그 시간에 종신보험을 한 개 더 파는 게 낫다”면서 유병력자 실손보험의 시장 안착에 부정적 견해를 보였습니다.

[영상편집 이한얼]

정훈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