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저승사자' 김기식, 정말 변할까

"사모펀드 규제 과감하게 풀것"

핀테크 이어 연일 유화제스처

금융 규제완화 목소리 키우며

예상못한 親시장행보 나서

여권 "크게 걱정할 일 없을 것"

업무파악 후엔 '强기식' 전망도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이 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산업 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송은석기자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이 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산업 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송은석기자



김기식 신임 금융감독원장이 규제 ‘강공’ 대신 ‘완화’ 카드를 잇달아 꺼내 들고 있다. 금융권의 ‘저승사자’라는 별명과 달리 시장의 목소리를 일단 경청하는 모습이다. 여권의 한 고위관계자는 “김 원장이 겉으로는 강한 것 같지만 일단 조직의 장(長)이 된 뒤에는 섬세한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며 “외부의 우려와 달리 업무 수행에서는 크게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김 원장은 취임 이후 금융산업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불필요한 규제를 풀기 위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사모펀드 규제 완화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5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김 원장은 취임 전 금감원 각 부서로부터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사모펀드의 경우 전문가들의 영역인 만큼 규제를 과감하게 풀려고 노력해달라”고 주문했다. 김 원장은 이에 앞서 지난 3일 서울 마포구에서 열린 취임 후 첫 외부 행사에서 “핀테크 규제는 백지 상태에서 재점검할 것이고 규제를 풀기 위해 토론방식으로 임직원들의 의견을 듣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원장은 일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공모펀드의 경우 투자자 보호가 우선돼야 하지만 전문가 집단으로 꾸려진 사모펀드는 규제를 풀어 시장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


의원 시절 은행과 보험 등 금융 전반에 걸쳐 규제 강화를 외치던 김 원장은 사모펀드에 대해서만큼은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19대 국회의원 생활을 마감하며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사모펀드 규제를 대폭 완화하고 지원·육성하는 정책을 통해 자본 시장의 뛰어난 인재들이 이 시장에 뛰어들어 도전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줘야 한다”며 “이제는 사모펀드 효용에 주목해 시장 진흥을 위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취임도 하기 전 사모펀드 규제 완화 주문을 내놓으면서 금융당국의 규제 완화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시장의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규제가 많이 풀린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규제 완화 요구가 있는 만큼 금융당국이 사모펀드 규제를 추가적으로 완화할 경우 시장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원장의 주문에 따라 기존 사모펀드보다 운용 관련 규제가 완화된 ‘한국형 헤지펀드’뿐 아니라 특정 기업의 주식을 대량 인수해 경영에 참여하는 방식의 펀드인 사모투자펀드(PEF)에도 불필요한 규제가 없는지 살펴볼 계획이다. 사모펀드의 투자자 수 제한(49인 이하), 해외와 달리 사모펀드를 벤처캐피털·헤지펀드·PEF 등으로 세분화해 규제하고 있는 내용 등이 검토 대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투자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사모펀드를 나눠서 규제하고 있는데 실익이 크지 않다”며 “이번 기회에 운용사에 대한 건전성 규제만 남겨 놓고 사모펀드에 대한 운용 규제를 모두 없애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반면 김 원장이 금감원 업무 전반에 대한 ‘스터디’를 마치면 본격적으로 ‘강(强)기식’의 면모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금융권의 한 고위관계자는 “김 원장은 금융전문가 출신이 아니기 때문에 오히려 주변의 눈치를 살피지 않고 쇄신을 이끌 수 있다는 기대를 받고 있다”며 “금융회사 지배구조나 은행의 예대마진 문제 등을 거론하고 나설 때까지는 긴장의 끈을 놓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성규·서일범기자 exculpate2@sedaily.com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