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북, 백악관에 '비핵화 논의' 의향 전달 …북미정상회담 준비 탄력 전망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연합뉴스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연합뉴스



북한이 5월로 예정된 북미정상회담에서 비핵화 문제를 논의할 의향이 있다는 입장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측에 직접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블룸버그 통신 등 미 언론들은 8일(현지시간) “미국 측이 김정은(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과 한반도의 비핵화 문제를 기꺼이 논의할 의향이 있다는 것을 재확인했다”고 한 행정부 관리를 인용해 보도했다.


로이터통신도 “북미 간 비밀접촉에서 평양 측은 북미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의향도 직접 미국에 전달했다”고 전했다.

미 행정부 관계자는 북미 간 접촉이 정확히 어디서 어떤 방식으로 이뤄졌는지에 대해서는 함구했으나 여러 번 만남이 있었다고 확인했다고 외신들이 보도했다.


외신들은 북측이 직접 미국 측에 비핵화 협상 의사를 표명한 데 대해 “북미정상회담의 장애물을 제거, 길을 터줬다”(WSJ)고 보도하는 등 그 의미를 평가했다. 또 이로 인해 북미정상회담 준비에 한층 탄력이 붙을 것으로 봤다.

관련기사



앞서 CNN은 전날 국무부 장관에 지명된 마이크 폼페이오 중앙정보국(CIA) 국장이 이끄는 CIA 내부의 전담팀과 북한의 정보당국 간에 가동된 비공식 채널을 통해 정상회담 장소 결정 등 북미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직접적인 비밀접촉이 이뤄져 왔다고 보도한 바 있다.

한편 일부에서는 북한의 적극적인 입장에도 비핵화 과정에서 북미간 풀어야 할 숙제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WSJ은 “북한의 이번 확언이 반드시 회담의 성공으로 이어지는 건 아니다”며 김 위원장이 언급한 ‘단계적·동시적 조치’와 관련, “북한이 상정하는 비핵화 시간표가 트럼프 행정부가 수용할 수 있는 수준보다 훨씬 장기적 목표일 수 있고 그마저 주한미군 철수 등 군사적 체제 위협 요소 제거를 전제로 하는 것일 수 있으며, 핵 검증 작업도 추가적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로이터통신도 “북한이 수년간 주한미군 철수와 핵우산 공약 철회 등을 핵무기 포기 검토의 선행요건으로 말해온 상황에서 비핵화를 어떻게 정의할지에 대한 의문이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