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낙동강 문명사 박물관 건립 등을 통해 서부산권 인문문화자산 활용해야"

낙동강 문명사 박물관 건립, 낙동이야기 길 조성, 팟캐스트 제작, 연합축제 개최 등을 통해 서부산권 인문문화자산을 활용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부산발전연구원은 9일 ‘서부산권 인문화자산의 활용방안’ 연구 보고서를 내고 이 같은 서부산권 인문문화자산의 활용 방안을 제시했다. 서부산권 인문문화자산은 ‘낙동강을 배경으로 살아 온 사람들의 시공간적 삶의 궤적을 기억하고 기록한 역사, 문학, 장소, 이야기 등 현재를 조망, 미래로 확장할 수 있는 자원과 자산’을 의미한다. 역사자산, 장소자산, 시설자산, 기억자산, 생활자산, 이미지자산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보고서를 작성한 오재환 연구위원은 “서부산권은 부산 미래성장의 원동력이자 원천 지역으로 이곳 인문문화자산의 활용은 서부산권 발전전략의 기초자산으로서 큰 가치가 있다”고 밝혔다.


오 연구위원은 서부산권 인문문화자산 활용방안으로 △낙동강 문명사 박물관 건립 △낙동이야기 길 조성 △팟캐스트 제작 ‘낙동서고’ △4개구 연합축제 ‘낙동 뱃길따라 1300리’ △이야기의 콘텐츠화와 캐릭터·공예상품 개발 △인문학적 가치 확산을 위한 시민 교육 등을 제시했다. 낙동강 문명사 박물관 건립은 거대한 낙동강 문명사와 궤적을 담아내는 라키비움(Larchiveum) 형태로 구축하는 것이다. 전시 및 아카이브 공간으로 시민교육 및 지역명소로서 서부산권 문화관광의 거점이자 랜드마크 역할을 할 수 있을 건이라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낙동이야기 길은 북구, 강서구, 사상구, 사하구4개 구의 대표적 인문문화자산을 거점으로 설정한 공존(共存)·공락(共樂)의 길이다. 타 길과 차별화되는 낙동강을 주제로 한 길로 관광자원으로서 유일성을 가질 수 있다. 팟캐스트 ‘낙동서고’는 서부산권의 역사, 문화, 장소, 기억, 시설 등 인문문화자산에 얽힌 이야기를 디지털 시대에 맞게 제작하는 방안이다. 서부산권 인문문화자산의 다양성을 부각시켜 지역민 자긍심을 고취하고 관광객 유입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개구 연합 축제 ‘낙동 뱃길따라 1300리’는 낙동강 줄기를 따라 이어진 을숙도-맥도-삼락-대저-화명 생태공원을 뱃길로 이어 연합축제를 개최하는 방안이다. 낙동강이라는 큰 줄기에서 4개 구의 축제 특성을 보완해 서부산권을 알리는 역할을 하고 부산의 대표적인 축제로 성장시킨다는 것이다. 이야기의 콘텐츠화(갈대밭 도깨비, 인어 이야기 등), 낙동이야기 길 캐릭터 상품개발(노직이, 소금장수 이야기 등), 재첩공예 상품개발은 지역 정체성 회복과 보전, 복원, 융복합을 통한 콘텐츠 활용 제고를 기대할 수 있다.

인문학적 가치 확산을 위한 시민 교육은 역사문화 탐방 프로그램, 낙동강을 따라가는 문학기행, 낙동강 음식문화 프로그램 등 지역민의 삶의 흔적과 문화적 자취를 더듬어 보는 기회를 마련해 인문학적 소양을 제고할 수 있다. 오 연구위원은 “인문문화자산의 활용은 성장 위주의 도시개발이 아닌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도시재생과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맥락에서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