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러시아 증시, 하루만에 11%이상 폭락, 분쟁 우려감 확산이 원인인 듯

상승세를 보이던 러시아증시가 하루만에 11% 이상 급락했다. 미국 정부가 러시아의 주요 정·재계 인사들에 대한 추가 경제제재 조치를 내리면서 분쟁 우려감이 확산된 것이 원인이 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9일(현지시간) 러시아 증시(RTS)는 전장 대비 11.44% 폭락한 1094.98로 마쳤다.

지난 6일 미국 정부는 ‘푸틴리스트’를 중심으로 24명의 주요 정계 및 재계 인사들에 대한 추가 경제제재 조치를 단행한 바 있다. 추가로 제재 명단에 오른 사람들은 러시아 관료 17명과 러시아의 신흥재벌 7명, 그와 관련된 12개의 기업으로 알려졌다.


미 재무부는 제재 대상에 오른 인물 및 단체에 대해 미국 내 자산을 동결 조치했으며, 미국인과의 거래도 금지됐다.

관련기사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러시아 정부는 올리가르히와 정부 엘리트들의 불균형적인 이익을 위해 일하고 있다”며 “이들이 더 이상은 러시아 정부의 불안정 활동 (크림반도 사태, 시리아 지원, 서구 민주주의 전복 시도, 사이버 해킹 등)의 결과로부터 자유롭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미국과 러시아의 갈등의 고조 될 예정이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러시아 정부는 미국의 제재 조치에 대한 여파를 분석하고, 보복 조치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강현구 KB증권 연구원은 “제재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에 더해 장기적으로 무역전쟁에 따른 자원에 대한 수요 둔화 우려도 함께 반영됐다”며 “단기적인 악재로 작용할 것이고 추가적인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나타나기 이전에는 반등세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